2016년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은 27개 종목에 남자 227명, 여자 196명, 총 423명의 선수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금메달 17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5개를 획득하여 총 4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카누, 승마, 사이클, 체조, 사격, 육상, 수영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카누와 승마 종목에서 다관왕이 배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독일 - 제6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2016년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제6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메릴 스트립이 심사위원장을 맡고 잔프란코 로시 감독의 《바다에 불》이 황금곰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섹션에서 영화 상영과 미하엘 발하우스의 명예 황금곰상 수상으로 진행되었다. - 2016년 독일 - 2016년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2016년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독일에서 개최되어 프랑스가 이탈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대회 상위 팀들은 2017년 FIFA U-20 월드컵 진출 자격을 얻었다. -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 1896년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일 선수단은 금메달 6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체조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다. -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 1900년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일 선수단은 요트, 수영, 조정, 럭비 종목 등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8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6년 하계 올림픽 러시아 선수단
2016년 하계 올림픽에 러시아 선수단은 도핑 스캔들로 일부 선수 출전 금지 속에서 282명이 참가하여 다양한 종목에서 총 56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 문제로 일부 종목에서 출전 금지된 선수들이 있었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2016년 하계 올림픽 덴마크 선수단
2016년 하계 올림픽에 16개 종목 120명의 선수단을 파견한 덴마크는 핸드볼 남자 대표팀의 금메달을 포함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6개, 동메달 7개로 총 1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하계 올림픽 독일 선수단 | |
---|---|
대회 정보 | |
NOC | GER |
NOC 명칭 |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 |
대회 | 하계 올림픽 |
연도 | 2016년 |
개최지 | 리우데자네이루 |
웹사이트 |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 공식 웹사이트 |
참가 정보 | |
참가 선수 | 422명 |
참가 종목 | 27개 |
기수 | 티모 볼(개막식) 제바스티안 브렌델(폐막식) |
임원 | (정보 없음) |
참가 횟수 | 자동 |
첫 참가 연도 | (정보 없음) |
마지막 참가 연도 | (정보 없음)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정보 없음)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정보 없음) |
성적 | |
순위 | 5위 |
금메달 | 17개 |
은메달 | 10개 |
동메달 | 15개 |
관련 정보 | |
이전 대회 | 1906년 중간 올림픽 (1952년) (1956–1964년) (1968–1988년) (1968–1988년) |
2. 메달 집계
다음은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독일 선수 명단이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금메달 | 미하엘 융 | 승마 | 개인 종합 마술 | 8월 9일 |
금메달 | 필리프 벤데,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한스 그루네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1일 |
금메달 | 안네카트린 틸레, 카리나 베어, 율리아 리어, 리사 슈미들라 | 조정 | 여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1일 |
금메달 | 바바라 엥글레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8월 11일 |
금메달 | 헨리 융헤넬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8월 12일 |
금메달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쇈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단체 마장마술 | 8월 12일 |
금메달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금메달 | 크리스티안 라이츠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 8월 13일 |
금메달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 8월 16일 |
금메달 | 파비안 함뷔헨 | 체조 | 남자 철봉 | 8월 16일 |
금메달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8월 16일 |
금메달 | 라우라 루드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배구 | 여자 비치 발리볼 | 8월 17일 |
금메달 | 막스 렌트슈미트,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 8월 18일 |
금메달 |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축구 | 여자 | 8월 19일 |
금메달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반드레이 | 카누 | 남자 C-2 1000m | 8월 20일 |
금메달 | 막스 렌트슈미트, 톰 리브셔,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4 1000m | 8월 20일 |
금메달 | 토마스 뢰러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8월 20일 |
은메달 | 산드라 아우파르트, 미하엘 융, 잉그리드 클림케, 율리아 크라예프스키 | 승마 | 단체 종합 마술 | 8월 9일 |
은메달 | 모니카 카르쉬 | 사격 | 여자 25m 권총 | 8월 9일 |
은메달 | 리사 운루 | 양궁 | 여자 개인전 | 8월 11일 |
은메달 | 펠릭스 드라호타, 말테 야크식, 에릭 요하네센, 안드레아스 쿠프너, 막시밀리안 문스키, 하네스 오치크, 막시밀리안 라이넬트, 리하르트 슈미트, 마르틴 자우어 (키잡이) | 조정 | 남자 에이트 | 8월 13일 |
은메달 | 안젤리크 케르버 | 테니스 | 여자 단식 | 8월 13일 |
은메달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개인 마장마술 | 8월 15일 |
은메달 | 프란치스카 베버, 티나 디에체 | 카누 | 여자 K-2 500m | 8월 16일 |
은메달 | 한잉, 페트리사 솔자, 산 샤오나 | 탁구 | 여자 단체 | 8월 16일 |
은메달 | 사브리나 헤링, 프란치스카 베버,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티나 디에체 | 카누 | 여자 K-4 500m | 8월 20일 |
은메달 | 독일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 축구 | 남자 | 8월 20일 |
동메달 | 라우라 바르가스 코흐 | 유도 | 여자 70kg | 8월 10일 |
동메달 | 크리스티나 포겔, 미리암 벨테 | 사이클 | 여자 단체 스프린트 | 8월 12일 |
동메달 | 다니엘 야신스키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동메달 | 소피 셰더 | 체조 | 여자 평행봉 | 8월 14일 |
동메달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 승마 | 개인 마장마술 | 8월 15일 |
동메달 | 데니스 쿠들라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 | 8월 15일 |
동메달 | 패트릭 하우징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8월 16일 |
동메달 | 크리스티안 알만, 메레디스 미카엘스-비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루드거 베어바움 | 승마 | 단체 장애물 | 8월 17일 |
동메달 | 드미트리 오브차로프, 티모 볼, 바스티안 슈테거 | 탁구 | 남자 단체 | 8월 17일 |
동메달 | 독일 남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필드하키 | 남자 | 8월 18일 |
동메달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플뢰셀 | 요트 | 49er | 8월 18일 |
동메달 | 독일 여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필드하키 | 여자 | 8월 19일 |
동메달 | 아르템 하르투니안 | 복싱 | 남자 라이트 웰터급 | 8월 19일 |
동메달 | 로날트 라우헤 | 카누 | 남자 K-1 200m | 8월 20일 |
동메달 | 독일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 핸드볼 | 남자 | 8월 21일 |
다음은 종목별 메달 집계이다.
종목별 메달 | ||||||
---|---|---|---|---|---|---|
종목 | 합계 | |||||
카누 | 4 | 2 | 1 | 7 | ||
사격 | 3 | 1 | 0 | 4 | ||
승마 | 2 | 2 | 2 | 6 | ||
조정 | 2 | 1 | 0 | 3 | ||
육상 | 2 | 0 | 1 | 3 | ||
축구 | 1 | 1 | 0 | 2 | ||
사이클 | 1 | 0 | 1 | 2 | ||
체조 | 1 | 0 | 1 | 2 | ||
배구 | 1 | 0 | 0 | 1 | ||
탁구 | 0 | 1 | 1 | 2 | ||
양궁 | 0 | 1 | 0 | 1 | ||
테니스 | 0 | 1 | 0 | 1 | ||
필드하키 | 0 | 0 | 2 | 2 | ||
복싱 | 0 | 0 | 1 | 1 | ||
다이빙 | 0 | 0 | 1 | 1 | ||
핸드볼 | 0 | 0 | 1 | 1 | ||
유도 | 0 | 0 | 1 | 1 | ||
요트 | 0 | 0 | 1 | 1 | ||
레슬링 | 0 | 0 | 1 | 1 | ||
합계 | 17 | 10 | 15 | 42 |
다음은 날짜별 메달 집계이다.
날짜별 메달 | |||||
---|---|---|---|---|---|
날짜 | 날짜 | 합계 | |||
1일차 | 8월 6일 | 0 | 0 | 0 | 0 |
2일차 | 8월 7일 | 0 | 0 | 0 | 0 |
3일차 | 8월 8일 | 0 | 0 | 0 | 0 |
4일차 | 8월 9일 | 1 | 2 | 0 | 3 |
5일차 | 8월 10일 | 0 | 0 | 1 | 1 |
6일차 | 8월 11일 | 3 | 1 | 0 | 4 |
7일차 | 8월 12일 | 2 | 0 | 1 | 3 |
8일차 | 8월 13일 | 2 | 2 | 1 | 5 |
9일차 | 8월 14일 | 0 | 0 | 1 | 1 |
10일차 | 8월 15일 | 0 | 1 | 3 | 4 |
11일차 | 8월 16일 | 3 | 2 | 1 | 6 |
12일차 | 8월 17일 | 1 | 0 | 2 | 3 |
13일차 | 8월 18일 | 1 | 0 | 2 | 3 |
14일차 | 8월 19일 | 1 | 0 | 2 | 3 |
15일차 | 8월 20일 | 3 | 2 | 1 | 6 |
16일차 | 8월 21일 | 0 | 0 | 1 | 1 |
합계 | 17 | 10 | 15 | 42 |
다음은 성별별 메달 집계이다.
성별별 메달 | ||||
---|---|---|---|---|
성별 | 합계 | |||
남자 | 10 | 2 | 9 | 21 |
여자 | 5 | 6 | 5 | 15 |
혼성 | 2 | 2 | 2 | 6 |
합계 | 17 | 10 | 15 | 42 |
다음은 다관왕 선수 목록이다.
다관왕 | ||||||
---|---|---|---|---|---|---|
이름 | 종목 | 합계 |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2 | 0 | 0 | 2 | |
마르쿠스 그로스 | 2 | 0 | 0 | 2 | ||
막스 렌트슈미트 | 2 | 0 | 0 | 2 | ||
티나 디에체 | 0 | 2 | 0 | 2 | ||
프란치스카 베버 | 0 | 2 | 0 | 2 | ||
미하엘 융 | 승마 | 1 | 1 | 0 | 2 | |
이자벨 베르트 | 1 | 1 | 0 | 2 |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 1 | 0 | 1 | 2 |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1 | 0 | 1 | 2 |
2. 1. 메달리스트
다음은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독일 선수 명단이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미하엘 융 | 승마 | 개인 종합 마술 | 8월 9일 | |
필리프 벤데,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한스 그루네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1일 | |
안네카트린 틸레, 카리나 베어, 율리아 리어, 리사 슈미들라 | 조정 | 여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1일 | |
바바라 엥글레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8월 11일 | |
헨리 융헤넬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8월 12일 |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쇈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단체 마장마술 | 8월 12일 |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
크리스티안 라이츠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 8월 13일 |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 8월 16일 | |
파비안 함뷔헨 | 체조 | 남자 철봉 | 8월 16일 |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8월 16일 | |
라우라 루드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배구 | 여자 비치 발리볼 | 8월 17일 | |
막스 렌트슈미트,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 8월 18일 | |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축구 | 여자 | 8월 19일 |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반드레이 | 카누 | 남자 C-2 1000m | 8월 20일 | |
막스 렌트슈미트, 톰 리브셔,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4 1000m | 8월 20일 | |
토마스 뢰러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8월 20일 | |
산드라 아우파르트, 미하엘 융, 잉그리드 클림케, 율리아 크라예프스키 | 승마 | 단체 종합 마술 | 8월 9일 | |
모니카 카르쉬 | 사격 | 여자 25m 권총 | 8월 9일 | |
리사 운루 | 양궁 | 여자 개인전 | 8월 11일 | |
펠릭스 드라호타, 말테 야크식, 에릭 요하네센, 안드레아스 쿠프너, 막시밀리안 문스키, 하네스 오치크, 막시밀리안 라이넬트, 리하르트 슈미트, 마르틴 자우어 (키잡이) | 조정 | 남자 에이트 | 8월 13일 | |
안젤리크 케르버 | 테니스 | 여자 단식 | 8월 13일 |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개인 마장마술 | 8월 15일 | |
프란치스카 베버, 티나 디에체 | 카누 | 여자 K-2 500m | 8월 16일 | |
한잉, 페트리사 솔자, 산 샤오나 | 탁구 | 여자 단체 | 8월 16일 | |
사브리나 헤링, 프란치스카 베버,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티나 디에체 | 카누 | 여자 K-4 500m | 8월 20일 | |
독일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 축구 | 남자 | 8월 20일 | |
라우라 바르가스 코흐 | 유도 | 여자 70kg | 8월 10일 | |
크리스티나 포겔, 미리암 벨테 | 사이클 | 여자 단체 스프린트 | 8월 12일 | |
다니엘 야신스키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
소피 셰더 | 체조 | 여자 평행봉 | 8월 14일 |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 승마 | 개인 마장마술 | 8월 15일 | |
데니스 쿠들라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 | 8월 15일 | |
패트릭 하우징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8월 16일 | |
크리스티안 알만, 메레디스 미카엘스-비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루드거 베어바움 | 승마 | 단체 장애물 | 8월 17일 | |
드미트리 오브차로프, 티모 볼, 바스티안 슈테거 | 탁구 | 남자 단체 | 8월 17일 | |
독일 남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필드하키 | 남자 | 8월 18일 |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플뢰셀 | 요트 | 49er | 8월 18일 | |
독일 여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필드하키 | 여자 | 8월 19일 | |
아르템 하르투니안 | 복싱 | 남자 라이트 웰터급 | 8월 19일 | |
로날트 라우헤 | 카누 | 남자 K-1 200m | 8월 20일 | |
독일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 핸드볼 | 남자 | 8월 21일 |
다음은 종목별 메달 집계이다.
종목별 메달 | ||||||
---|---|---|---|---|---|---|
종목 | 합계 | |||||
카누 | 4 | 2 | 1 | 7 | ||
사격 | 3 | 1 | 0 | 4 | ||
승마 | 2 | 2 | 2 | 6 | ||
조정 | 2 | 1 | 0 | 3 | ||
육상 | 2 | 0 | 1 | 3 | ||
축구 | 1 | 1 | 0 | 2 | ||
사이클 | 1 | 0 | 1 | 2 | ||
체조 | 1 | 0 | 1 | 2 | ||
배구 | 1 | 0 | 0 | 1 | ||
탁구 | 0 | 1 | 1 | 2 | ||
양궁 | 0 | 1 | 0 | 1 | ||
테니스 | 0 | 1 | 0 | 1 | ||
필드하키 | 0 | 0 | 2 | 2 | ||
복싱 | 0 | 0 | 1 | 1 | ||
다이빙 | 0 | 0 | 1 | 1 | ||
핸드볼 | 0 | 0 | 1 | 1 | ||
유도 | 0 | 0 | 1 | 1 | ||
요트 | 0 | 0 | 1 | 1 | ||
레슬링 | 0 | 0 | 1 | 1 | ||
합계 | 17 | 10 | 15 | 42 |
다음은 날짜별 메달 집계이다.
날짜별 메달 | |||||
---|---|---|---|---|---|
날짜 | 날짜 | 합계 | |||
1일차 | 8월 6일 | 0 | 0 | 0 | 0 |
2일차 | 8월 7일 | 0 | 0 | 0 | 0 |
3일차 | 8월 8일 | 0 | 0 | 0 | 0 |
4일차 | 8월 9일 | 1 | 2 | 0 | 3 |
5일차 | 8월 10일 | 0 | 0 | 1 | 1 |
6일차 | 8월 11일 | 3 | 1 | 0 | 4 |
7일차 | 8월 12일 | 2 | 0 | 1 | 3 |
8일차 | 8월 13일 | 2 | 2 | 1 | 5 |
9일차 | 8월 14일 | 0 | 0 | 1 | 1 |
10일차 | 8월 15일 | 0 | 1 | 3 | 4 |
11일차 | 8월 16일 | 3 | 2 | 1 | 6 |
12일차 | 8월 17일 | 1 | 0 | 2 | 3 |
13일차 | 8월 18일 | 1 | 0 | 2 | 3 |
14일차 | 8월 19일 | 1 | 0 | 2 | 3 |
15일차 | 8월 20일 | 3 | 2 | 1 | 6 |
16일차 | 8월 21일 | 0 | 0 | 1 | 1 |
합계 | 17 | 10 | 15 | 42 |
다음은 성별별 메달 집계이다.
성별별 메달 | ||||
---|---|---|---|---|
성별 | 합계 | |||
남자 | 10 | 2 | 9 | 21 |
여자 | 5 | 6 | 5 | 15 |
혼성 | 2 | 2 | 2 | 6 |
합계 | 17 | 10 | 15 | 42 |
다음은 다관왕 선수 목록이다.
다관왕 | ||||||
---|---|---|---|---|---|---|
이름 | 종목 | 합계 |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2 | 0 | 0 | 2 | |
마르쿠스 그로스 | 2 | 0 | 0 | 2 | ||
막스 렌트슈미트 | 2 | 0 | 0 | 2 | ||
티나 디에체 | 0 | 2 | 0 | 2 | ||
프란치스카 베버 | 0 | 2 | 0 | 2 | ||
미하엘 융 | 승마 | 1 | 1 | 0 | 2 | |
이자벨 베르트 | 1 | 1 | 0 | 2 |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 1 | 0 | 1 | 2 |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1 | 0 | 1 | 2 |
분류:201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분류:올림픽 독일 선수단
2. 2. 종목별 메달
메달 | 종목 | 세부 종목 |
---|---|---|
금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남자 창던지기 |
금 | 축구 | 여자 |
금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여자 쿼드러플 스컬 |
금 | 배구 | 여자 비치 발리볼 |
금 | 체조 | 남자 철봉 |
금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금 | 승마 | 마장마술 단체, 종합마술 개인 |
금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남자 50m 소총 복사, 여자 50m 소총 3자세 |
금 | 카누 | 남자 C-1 1000m, 남자 C-2 1000m, 남자 K-2 1000m, 남자 K-4 1000m |
은 | 축구 | 남자 |
은 | 테니스 | 여자 단식 |
은 | 조정 | 남자 에이트 |
은 | 탁구 | 여자 단체 |
은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종합마술 단체 |
은 | 사격 | 여자 25m 권총 |
은 | 카누 | 여자 K-2 500m, 여자 K-4 500m |
은 | 양궁 | 여자 개인 |
동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동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동 | 하키 | 남자, 여자 |
동 | 복싱 | 남자 라이트웰터급 |
동 | 체조 | 여자 평행봉 |
동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급 |
동 | 요트 | 남자 49er |
동 | 핸드볼 | 남자 |
동 | 사이클 | 여자 팀 스프린트 |
동 | 탁구 | 남자 단체 |
동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장애물 단체 |
동 | 유도 | 여자 70kg급 |
동 | 카누 | 남자 K-1 200m |
2. 3. 날짜별 메달
날짜 |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8월 6일 | ||||
8월 7일 | ||||
8월 8일 | 16px 금메달 | 바르바라 엥글레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8월 9일 | 16px 은메달 | 율리아 크라이에프스키, 산드라 아우파르트, 잉그리드 클림케,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단체 |
8월 10일 | 16px 금메달 | 필리프 벤데,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한스 그루네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0일 | 16px 금메달 | 안네카트린 틸레, 카리나 베르, 율리아 리엘, 리사 슈미들라 | 조정 | 여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0일 | 16px 동메달 | 다니엘 야신스키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1일 | 16px 금메달 |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개인 |
8월 11일 | 16px 은메달 | 모니카 카르슈 | 사격 | 여자 25m 권총 |
8월 11일 | 16px 동메달 | 라우라 바르가스-코흐 | 유도 | 여자 70kg급 |
8월 12일 | 16px 금메달 | 헨리 융헤넬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8월 12일 | 16px 금메달 | 쑨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크리스티나 쉬피레,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단체 |
8월 12일 | 16px 동메달 | 조피 셰더 | 체조 | 여자 평행봉 |
8월 13일 | 16px 금메달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16px 은메달 | 막시밀리안 문스키, 마르테 약시크, 안드레아스 쿠프너, 에리크 요한센, 막시밀리안 라이너트, 펠릭스 드라호타, 리하르트 슈미트, 플로리안 메닝겐, 한네스 오시크, 마르틴 자우어 | 조정 | 남자 에이트 |
8월 13일 | 16px 동메달 | 패트릭 하우스딩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8월 14일 | 16px 금메달 | 크리스티안 라이츠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
8월 14일 | 16px 동메달 | 데니스 쿠들라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급 |
8월 15일 | 16px 은메달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
8월 15일 | 16px 동메달 | 크리스티나 쉬피레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
8월 16일 | 16px 금메달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
8월 16일 | 16px 금메달 | 파비안 함뷔헨 | 체조 | 남자 철봉 |
8월 16일 | 16px 금메달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8월 16일 | 16px 은메달 | 프란치스카 베버,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2 500m |
8월 16일 | 16px 동메달 | 아르템 할튜니안 | 복싱 | 남자 라이트웰터급 |
8월 16일 | 16px 동메달 | 크리스티안 아일만, 메러디스 마이클스-비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루드거 베어바움 | 승마 | 장애물 단체 |
8월 17일 | 16px 금메달 | 라우라 루트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배구 | 여자 비치발리볼 |
8월 17일 | 16px 동메달 | 니콜라스 야코비, 마티아스 뮐러, 리누스 뷔트, 마르틴 헤너, 모리츠 트롬페르츠, 마츠 그라인부슈, 크리스토퍼 베슬리, 팀 헤르츠브루흐, 토비아스 호이케, 톰 그람부슈, 크리스토퍼 루어, 마르틴 츠비커, 모리츠 퓌르스테, 플로리안 푹스, 티무르 오르츠, 니클라스 펠렌 | 하키 | 남자 |
8월 18일 | 16px 금메달 | 막스 렌트슈미트,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
8월 18일 | 16px 동메달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프레셀 | 요트 | 남자 49er |
8월 19일 | 16px 금메달 | 알무트 슐트, 요제피네 헤닝, 자스키아 바르투시악, 레오니 마이어, 아니케 클란, 지모네 라우데르, 멜라니 베링거, 레나 게슬링, 알렉산드라 팝, 제니퍼 마로잔, 아냐 미타크, 타베아 켐메, 사라 데브리츠, 바베트 페터, 만디 이스라커, 멜라니 로이폴츠, 이자벨 케르쇼프스키, 라우라 벤카르트, 스벤야 후트 | 축구 | 여자 |
8월 19일 | 16px 동메달 | 니케 로렌츠, 젤린 오르츠, 안네 뢰더, 리사 슐츠, 샤를로테 슈타펜호르스트, 카타리나 오테, 야누 비랜드, 한나 뤼거, 야나 테슈케, 리사 알텐부르크, 프란치스카 호이케, 체실 피퍼, 마리 뫼퍼스, 아니카 슈프링크, 율리아 뮐러, 피아-소피 오르트하우어, 크리스티나 레이놀즈 | 하키 | 여자 |
8월 19일 | 16px 동메달 | 우베 겐스하이머, 핀 렘케, 패트릭 빈체크, 토비아스 라이히만, 파비안 비에데, 질비오 하이네베터, 헨드릭 펠러, 슈테판 바인홀트, 마르틴 슈트로벨, 패트릭 그로츠키, 카이 헤프너, 안드레아스 볼프, 율리우스 퀜, 크리스티안 디싱어, 파울 드루크스 | 핸드볼 | 남자 |
8월 20일 | 16px 금메달 | 토마스 뢰러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8월 20일 | 16px 금메달 | 막스 렌트슈미트, 톰 리브셰르,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4 1000m |
8월 20일 | 16px 금메달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파우드라이 | 카누 | 남자 C-2 1000m |
8월 20일 | 16px 은메달 | 안젤리크 케르버 | 테니스 | 여자 단식 |
8월 20일 | 16px 은메달 | 한 잉, 페트리사 숄야, 샨 샤오나 | 탁구 | 여자 단체 |
8월 20일 | 16px 은메달 | 사브리나 헤링, 프란치스카 베버,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4 500m |
8월 20일 | 16px 은메달 | 리사 운루 | 양궁 | 여자 개인 |
8월 20일 | 16px 동메달 | 미리암 벨테,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팀 스프린트 |
8월 20일 | 16px 동메달 | 티모 볼, 드미트리 옵차로프, 바스티안 슈테거 | 탁구 | 남자 단체 |
8월 20일 | 16px 동메달 | 로날드 로이예 | 카누 | 남자 K-1 200m |
8월 21일 | 16px 은메달 | 티모 혼, 제레미 토리안, 루카스 클로스터만, 마티아스 긴터, 니클라스 쥘레, 스벤 벤더, 막스 마이어, 라스 벤더, 다비 젤케, 레온 고레츠카, 율리안 브란트, 야닉 후트, 필리프 막스, 로베르트 바우어, 막스 크리스티안젠, 그리샤 프뢰멜, 세르주 그나브리, 닐스 페테르젠, 에리크 엘슈레겔 | 축구 | 남자 |
2. 4. 성별별 메달
성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전체 |
---|---|---|---|---|
남자 | 9 | 1 | 5 | 15 |
여자 | 8 | 7 | 5 | 20 |
혼성 | 0 | 0 | 3 | 3 |
합계 | 17 | 8 | 13 | 38 |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일 선수단은 금메달 17개, 은메달 8개, 동메달 13개를 획득하여 총 38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남자 선수단은 금메달 9개, 은메달 1개, 동메달 5개를 획득했고, 여자 선수단은 금메달 8개, 은메달 7개, 동메달 5개를 획득했다. 혼성 선수단은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2. 5. 다관왕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일은 금메달 17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5개를 획득하여 총 4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이 중 2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 및 팀은 다음과 같다: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금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남자 C-2 1000m |
금 | 막스 렌트슈미트 | 카누 | 남자 K-2 1000m, 남자 K-4 1000m |
금 |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남자 K-4 1000m |
금 | 크리스티나 쉬피레 | 승마 | 마장마술 단체, 동메달: 마장마술 개인 |
금 |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개인, 은메달: 종합마술 단체 |
금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동메달: 여자 팀 스프린트 |
금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단체, 은메달: 마장마술 개인 |
은 | 프란치스카 베버 | 카누 | 여자 K-2 500m, 여자 K-4 500m |
은 |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2 500m, 여자 K-4 500m |
3. 종목별 성적
3. 1. 양궁
2015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서 독일 양궁 선수 두 명이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여, 남자 개인전과 여자 개인전에 출전 자격을 얻었다.[2][3][4] 내부 선발을 거쳐 플로리안 플로토와 리사 운루가 2016년 6월 23일 독일 양궁 팀에 합류했다.[5]
플로리안 플로토는 남자 개인전 16강에서 구본찬에게 4-6으로 패했다. 리사 운루는 여자 개인전 결승에서 장혜진에게 2-6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 종목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순위 |
---|---|---|---|---|---|---|---|---|
플로리안 플로토 | 남자 개인전 | 승 6–0 | 승 6–4 | 패 4–6 | 진출 실패 | |||
리사 운루 | 여자 개인전 | 승 6–4 | 승 6–4 | 승 6–2 | 승 6–5 | 승 6–2 | 패 2–6 |
3. 2. 육상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 육상 종목에 총 86명의 선수(남자 38명, 여자 48명)를 출전시켰다.[12][13] 이들은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1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올림픽 선발전 및 독일 육상 연맹이 승인한 기타 대회의 결과에 따라 특정 출전 기준을 충족하여 선발되었다.[8][9]남자 원반던지기에서 크리스토프 하르팅이 68.37m의 개인 최고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다니엘 야신스키는 67.08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창던지기에서는 토마스 뢰러가 90.30m를 던져 금메달을 차지했다. 요하네스 베터는 85.32m로 4위를 기록했다.
남자 20km 경보에서 크리스토퍼 린케는 1:20:00으로 5위를, 닐스 브렘바흐는 1:23:46으로 38위를 기록했다. 하겐 포흘레는 1:21:44로 18위에 올랐다. 남자 50km 경보에서는 카를 도만과 하겐 포흘레 모두 기권했다.
남자 110m 허들에서 그레고르 트라버는 준결승에서 13.43초로 5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마티아스 뷜러와 알렉산더 존은 예선에서 각각 13.90초와 14.13초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남자 100m에서 루카스 야쿱치크와 율리안 로이스는 각각 10.29초와 10.34초로 준준결승에서 탈락했다. 남자 200m에서 율리안 로이스는 20.39초(개인 최고 기록)로 예선 3위를 기록했지만 준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로빈 에레와와 알렉시오-플라티니 멩가는 각각 20.61초와 20.80초로 예선에서 탈락했다.
남자 1500m에서 호미유 테스파예는 예선에서 3:47:44로 7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남자 5000m에서 플로리안 오르트와 리하르트 링거는 각각 13:28.88과 14:05.01로 예선에서 탈락했다. 남자 마라톤에서 율리안 플뤼겔과 필리프 플리거는 각각 2:20:47(71위)과 2:18:56(55위)를 기록했다.

여자부 경기에서는, 여자 마라톤에서 안나 하네르와 리사 하네르 쌍둥이 자매가 각각 2:45:32(81위)와 2:45:33(82위)를 기록했다. 안야 셰를은 2:37:23으로 44위를 기록했다.
여자 100m 허들에서 신디 로에델러는 준결승에서 12.69초로 3위를 기록, 결승에 진출하여 12.74초로 5위를 차지했다. 파멜라 두트키에비츠와 나딘 힐데브란트는 준결승에서 각각 12.92초와 12.95초로 4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여자 400m에서 루스 슈펠마이어는 준결승에서 51.61초로 6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400m 허들에서 재키 바우만은 예선에서 59.04초로 6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100m에서 레베카 하세와 타트야나 핀토는 준준결승에서 각각 11.41초와 11.31초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200m에서 지나 뤼켄켐퍼와 리사 마이어는 준결승에서 각각 22.73초와 22.90초로 5위와 7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나딘 곤스카는 예선에서 23.03초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800m에서 크리스티나 헤링과 파비엔느 콜만은 예선에서 각각 2:01.04와 2:05.36으로 7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1500m에서 콘스탄체 클로스터할펜과 다이아나 수제프는 준결승에서 각각 4:07.26과 4:10.15로 10위와 9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여자 3000m 장애물 경주에서 게사 펠리치타스 크라우스는 결승에서 9:18.41로 6위를 기록했다. 사나 쿠바는 예선에서 9:35.15(개인 최고 기록)로 9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마야 레베르크는 9:51.73으로 15위를 기록했다.
여자 포환던지기에서 크리스티나 슈바니츠는 19.03m로 6위를 기록했다. 사라 감베타는 예선에서 17.24m로 20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레나 우르바니악은 16.62m로 29위를 기록했다.
여자 원반던지기에서 나딘 뮐러는 63.13m로 6위를 기록했다. 율리아 피셔는 62.67m로 9위, 샤니체 크라프트는 59.83m로 11위를 기록했다.
여자 창던지기에서 크리스티나 오베르그폴은 62.92m로 8위를 기록했다. 린다 슈탈은 59.71m로 11위, 크리스틴 후송은 57.70m로 12위를 기록했다.
여자 해머던지기에서 베티 하이들러는 73.71m로 4위를 기록했다. 카트린 클라스는 예선에서 67.92m로 18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샬린 보이타는 62.50m로 29위를 기록했다.
여자 높이뛰기에서 마리-로렌스 융플라이슈는 1.93m로 7위를 기록했다. 여자 장대높이뛰기에서 리사 리지는 4.50m로 10위를 기록했고, 마르티나 스트루츠는 4.60m로 9위를 기록했다. 아니카 롤로프는 예선에서 4.45m로 21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멀리뛰기에서 말라이카 미함보는 6.95m(개인 최고 기록)로 4위를 기록했다. 소스테네 모게나라는 6.61m로 10위를 기록했고, 알렉산드라 베스터는 예선에서 5.98m로 3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세단뛰기에서 크리스틴 기에리쉬는 13.96m로 11위를 기록했고, 제니 엘베는 예선에서 14.02m로 1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남자 4x100m 계주 팀(로빈 에레와, 로베르트 헤링, 스벤 크니프할스, 루카스 야쿱치크, 율리안 로이스, 알렉산더 코센코프, 로이 슈미트)은 예선에서 38.26초로 6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여자 4x100m 계주 팀(알렉산드라 부르크하르트, 레베카 하세, 야스민 콰드보, 타트야나 핀토)은 결승에서 42.10초로 4위를 기록했다. 여자 4x400m 계주 팀(라라 호프만, 프리에데리케 뫼렌캄프, 라우라 뮐러, 루스 슈펠마이어)은 예선에서 3:26.02로 5위를 기록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 10종 경기에서 카이 카즈미레크는 8580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아르투르 아벨레는 8013점으로 15위를 기록했고, 리코 프라이무트는 기권했다.
3. 3. 배드민턴
독일은 2016년 5월 5일 기준 BWF 세계 랭킹에 따라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 각 1명, 남자, 여자, 혼합 복식 각 1조 등 총 7명의 배드민턴 선수를 올림픽 토너먼트에 출전시켰다.[14] 배드민턴팀은 2016년 5월 31일 올림픽 선수 명단에 지명된 첫 번째 선수 그룹의 일부로 공식 발표되었다.[10]선수 | 종목 | 조별 리그 | 순위 | 결선 토너먼트 | 8강 | 4강 | 결승/동메달 결정전 | 순위 |
---|---|---|---|---|---|---|---|---|
마르크 츠비블러(Marc Zwiebler) | 남자 단식 | 패 (21–9, 17–21, 7–21) 승 (21–12, 21–12) | 2 | 진출 실패 | ||||
미하엘 푸흐스 요하네스 쇠틀러(Johannes Schöttler) | 남자 복식 | 패 (14–21, 17–21) 패 (11–21, 16–21) 승 (21–14, 21–14) | 3 | 진출 실패 | ||||
카린 슈나아세(Karin Schnaase) | 여자 단식 | 승 (21–14, 21–19) 패 (11–21, 16–21) | 2 | 진출 실패 | ||||
요한나 골리셰프스키(Johanna Goliszewski) 카를라 넬테(Carla Nelte) | 여자 복식 | 패 (10–21, 11–21) 패 (18–21, 21–18, 17–21) 패 (14–21, 19–21) | 4 | 진출 실패 | ||||
미하엘 푸흐스 비르기트 미헬스(Birgit Michels) | 혼합 복식 | 패 (19–21, 16–21) 패 (16–21, 15–21) 패 (17–21, 14–21) | 4 | 진출 실패 |
3. 4. 복싱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 복싱 토너먼트에 총 6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15][16] 아르템 하루튜니안과 에릭 파이퍼는 AIBA 프로 복싱 시리즈에서, 다비드 그라프는 월드 복싱 시리즈에서 각 체급 상위 2위 안에 들어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15][16] 라이트 헤비급의 세르게 미셸은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2016년 AIBA 세계 예선 토너먼트 8강에서 승리하여 출전권을 획득했다.[17] 함자 투바와 아라지크 마루티안은 베네수엘라 바르가스에서 열린 2016년 APB 및 WSB 올림픽 예선전에서 상위 2위 안에 들어 독일 선수단을 완성했다.남자부 경기에서 아르템 하루튜니안은 라이트 웰터급 동메달을 획득했다.[15] 그는 준결승에서 로렌조 소토마요르에게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선수 | 종목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순위 | ||
함자 투바 | 남자 플라이급 | 패 0–3 | 진출 실패 | ||||
아르템 하루튜니안 | 남자 라이트 웰터급 | 승 2–0 | 승 3–0 | 패 0–3 | 진출 실패 | ||
아라지크 마루티안 | 남자 웰터급 | 패 1–2 | 진출 실패 | ||||
세르게 미셸 | 남자 라이트 헤비급 | 패 0–3 | 진출 실패 | ||||
다비드 그라프 | 남자 헤비급 | 패 1–2 | 진출 실패 | ||||
에릭 파이퍼 | 남자 슈퍼 헤비급 | 패 1–2 | 진출 실패 |
3. 5. 카누
독일 카누 선수들은 2015년 국제 카누 연맹 슬라롬 세계 선수권 대회를 통해 각 종목에서 최대 한 척의 보트 출전 자격을 얻었다.[18] 아우크스부르크(4월 8일~10일)와 마르클레베르크(4월 15일~17일)에서 열린 두 차례의 올림픽 선발전에서 최고 성적을 거둔 하네스 아이그너와 시데리스 타시아디스가 슬라롬 카누 선수 명단에 포함되었다.[19]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1차 시기 | 순위 | 2차 시기 | 순위 | 최고 기록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시데리스 타시아디스 | 남자 C-1 | 100.47 | 8 | 92.23 | 1 | 92.23 | 1 Q | 95.63 | 1 Q | 97.90 | 5 |
프란츠 안톤 얀 벤첸 | 남자 C-2 | 103.43 | 4 | 114.35 | 8 | 103.43 | 5 Q | 107.93 | 1 Q | 103.58 | 4 |
하네스 아이그너 | 남자 K-1 | 90.33 | 7 | 87.31 | 2 | 87.31 | 3 Q | 91.87 | 6 Q | 89.02 | 4 |
멜라니 파이퍼 | 여자 K-1 | 115.60 | 15 | 107.30 | 12 | 107.30 | 14 Q | 108.58 | 10 Q | 106.89 | 7 |
2015년 ICF 카누 스프린트 세계 선수권 대회를 통해 총 6척의 배가 다음 거리 종목 자격을 획득했다.[20] 2016년 독일 뒤스부르크에서 열린 유럽 예선 레가타에서 상위 2위 안에 들어 여자 K-1 200m 및 여자 K-1 500m 두 척이 추가 배정되었다.[21] 2016년 6월 28일, 세바스티안 브렌델(남자 C-1 1000m)과 여자 카약 듀오 티나 디에체 및 프란치스카 베버를 포함한 총 11명의 스프린트 카누 선수가 선수단에 이름을 올렸다.[12]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세바스티안 브렌델 | C-1 1000 m | 3:58.44 | 1 FA | colspan=2 | 3:56.926 | ||
막스 호프 | K-1 1000 m | 3:33.585 | 2 Q | 3:36.136 | 2 FA | 3:37.581 | 7 |
슈테판 키라 | C-1 200 m | 41.198 | 5 Q | 43.171 | 6 | 진출 실패 | |
로날트 라우에 | K-1 200 m | 34.350 | 1 Q | 34.180 | 2 FA | 35.662 |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반드레이 | C-2 1000 m | 3:33.482 | 1 FA | colspan=2 | 3:43.912 | ||
마르쿠스 그로스 막스 렌트슈미트 | K-2 1000 m | 3:19.258 | 1 FA | colspan=2 | 3:10.781 | ||
톰 리프셔 로날트 라우에 | K-2 200 m | 31.572 | 4 Q | 32.061 | 2 FA | 32.488 | 5 |
마르쿠스 그로스 막스 호프 톰 리프셔 막스 렌트슈미트 | K-4 1000 m | 2:52.836 | 1 FA | colspan=2 | 3:02.143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코니 바스무트 | K-1 200 m | 41.972 | 5 Q | 41.725 | 6 | 진출 실패 | |
프란치스카 베버 | K-1 500 m | 1:56.601 | 4 Q | 1:56.515 | 1 FA | 1:54.553 | 5 |
티나 디에체 프란치스카 베버 | K-2 500 m | 1:42.184 | 1 FA | colspan=2 | 1:43.738 | ||
티나 디에체 사브리나 헤링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프란치스카 베버 | K-4 500 m | 1:33.185 | 3 Q | 1:34.710 | 1 FA | 1:15.094 |
예선 통과 범례: '''FA''' = 결승 진출(메달 획득); '''FB''' = B 결승 진출(메달 미획득)
3. 6. 사이클
독일 사이클 선수들은 2015년 UCI 월드 투어(남자)에서 최종 국가 랭킹 15위, UCI 월드 랭킹(여자)에서 22위 안에 들어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및 여자 도로 경기 출전 쿼터를 확보했다.[22] 2012년 런던 올림픽 타임 트라이얼 은메달리스트 토니 마틴을 필두로 한 도로 사이클링 팀은 2016년 6월 25일에 올림픽 로스터에 이름을 올렸다.[13][23]선수 | 종목 | 시간 | 순위 |
---|---|---|---|
에마누엘 부흐만 | 도로 경기 | 6:13:03 | 14 |
시몬 게슈케 | 도로 경기 | 완주 실패 | |
타임 트라이얼 | 1:15:49.88 | 13 | |
막시밀리안 레비 | 도로 경기 | 완주 실패 | |
토니 마틴 | 도로 경기 | 완주 실패 | |
타임 트라이얼 | 1:15:33.75 | 12 |
선수 | 종목 | 시간 | 순위 |
---|---|---|---|
리사 브레나우어 | 도로 경기 | 3:56:34 | 19 |
타임 트라이얼 | 45:22.62 | 8 | |
로미 카스퍼 | 도로 경기 | 4:02:07 | 44 |
클라우디아 리히텐베르크 | 3:58:03 | 31 | |
트릭시 보락 | 도로 경기 | 4:01:33 | 43 |
타임 트라이얼 | 46:52.77 | 16 |
2016년 UCI 트랙 사이클 세계 선수권 대회가 끝난 후, 독일 선수들은 남자 및 여자 단체 추발, 남자 및 여자 단체 스프린트, 남자 및 여자 옴니엄에서 출전 자격을 얻었다. 남자 및 여자 단체 스프린트에서 얻은 결과로 독일은 남자 및 여자 스프린트와 남자 및 여자 경륜에 각각 두 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권리를 얻었다.
독일 올림픽 스포츠 연맹(DOSB)은 2016년 5월 31일, 첫 번째로 지명된 독일 선수단에 포함된 전체 트랙 사이클 선수단을 발표했다. 이 중에는 여자 단체 스프린트의 올림픽 챔피언인 크리스티나 포겔과 미리암 벨테가 포함되었다.[10][24] 헤닝 보멜(남자 단체 추발)과 안나 크나우어(여자 옴니엄)가 2016년 6월 28일에 라인업을 완성했다.[12]
;스프린트
선수 | 종목 | 예선 | 1라운드 | 패자부활전 1 | 2라운드 | 패자부활전 2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속도(km/h) | 순위 | 상대 시간 속도(km/h) | 상대 시간 속도(km/h) | 상대 시간 속도(km/h) | 상대 시간 속도(km/h) | 상대 시간 속도(km/h) | 상대 시간 속도(km/h) | 상대 시간 속도(km/h) | 순위 | ||
요아힘 아이엘스 | 남자 스프린트 | 9.908 72.668 | 12 Q | 승 10.428 69.044 | 승 10.449 68.906 | 패, 패 | 진출 실패 | 5위 결정전 승 10.525 | 5 | ||
막시밀리안 레비 | 10.035 71.748 | 18 Q | 패 | 승 10.536 69.524 | 패 | 패 | 진출 실패 | 9위 결정전 승 10.275 | 9 | ||
크리스티나 포겔 | 여자 스프린트 | 10.865 66.267 | 6 Q | 승 11.279 63.835 | 승 11.197 64.302 | 승 11.230, 승 11.373 | 승 11.302, 승 11.153 | 승 11.237, 승 11.312 | |||
미리암 벨테 | 11.038 65.229 | 14 Q | 패 | 승 11.466 62.794 | 패 | 패 | 진출 실패 | 9위 결정전 패 | 11 |
;단체 스프린트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속도(km/h) | 순위 | 상대 시간 속도(km/h) | 순위 | 상대 시간 속도(km/h) | 순위 | ||
요아힘 아이엘스 레네 엔더스 막시밀리안 레비 | 남자 단체 스프린트 | 43.711 61.769 | 7 Q | 패 43.455 62.133 | 5 | 진출 실패 | |
크리스티나 포겔 미리암 벨테 | 여자 단체 스프린트 | 32.673 55.091 | 3 Q | 승 32.806 54.868 | 4 Q | 승 32.636 55.153 |
;추발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상대 결과 | 순위 | 상대 결과 | 순위 | ||
헤닝 보멜 닐스 솜버르 케르스텐 틸레 도메닉 바인슈타인 | 남자 단체 추발 | 4:00.911 | 6 Q | 3:56.903 | 6 | 3:59.485 | 5 |
샬롯 베커 미케 크뢰거 스테파니 폴 구드룬 슈톡 | 여자 단체 추발 | 4:30.068 | 9 | 진출 실패 |
;경륜
선수 | 종목 | 1라운드 | 패자부활전 | 2라운드 | 결승 |
---|---|---|---|---|---|
순위 | 순위 | 순위 | 순위 | ||
요아힘 아이엘스 | 남자 경륜 | 2 Q | 1 Q | 4 | |
막시밀리안 레비 | 남자 경륜 | 3 R | 4 | 진출 실패 | |
크리스티나 포겔 | 여자 경륜 | 1 Q | 1 Q | 6 | |
미리암 벨테 | 7 R | 5 | 진출 실패 |
;옴니엄
선수 | 종목 | 스크래치 | 개인 추발 | 엘리미네이션 | 독주 | 플라잉 랩 | 포인트 레이스 | 총점 | 순위 | |||||||||
---|---|---|---|---|---|---|---|---|---|---|---|---|---|---|---|---|---|---|
순위 | 점수 | 시간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시간 | 순위 | 점수 | 시간 | 순위 | 점수 | 점수 | 순위 | ||||
로저 클루게 | 남자 옴니엄 | 2 | 38 | 4:18.907 | 4 | 34 | 12 | 18 | 1:03.797 | 9 | 24 | 13.332 | 11 | 20 | 33 | 3 | 167 | 6 |
안나 크나우어 | 여자 옴니엄 | 16 | 10 | 3:42.987 | 13 | 16 | 8 | 26 | 36.370 | 10 | 22 | 14.447 | 10 | 22 | 3 | 11 | 99 | 13 |
독일 산악자전거 선수들은 2016년 5월 25일자 UCI 올림픽 랭킹에서 남자 6위, 여자 2위를 기록하여 올림픽 크로스컨트리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남자 2명, 여자 2명의 쿼터 자격을 얻었다. 산악자전거 팀은 2016년 6월 13일 올림픽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3번의 메달리스트인 사비네 슈피츠는 5회 연속 올림픽에서 크로스컨트리 경기에 출전했다.[25]
선수 | 종목 | 시간 | 순위 |
---|---|---|---|
마누엘 푸믹 | 남자 크로스컨트리 | 1:37:39 | 13 |
모리츠 밀라츠 | 1:43:14 | 28 | |
헬렌 그로베르트 | 여자 크로스컨트리 | 1:34:08 | 12 |
사비네 슈피츠 | 1:39:16 | 19 |
독일은 2016년 5월 31일 UCI BMX 개인 랭킹에서 남자부 3위, 여자부 2위를 기록하여 올림픽 BMX에서 남자 1명, 여자 1명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출전 선수인 루이스 브레타우어와 BMX 신인 나드자 프리즈가 독일 사이클 팀에 선발되었다.[26]
선수 | 종목 | 시드 배정 | 쿼터 파이널 | 준결승 | 결승 | ||||
---|---|---|---|---|---|---|---|---|---|
결과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결과 | 순위 | ||
루이스 브레타우어 | 남자 BMX | 35.379 | 15 | 7 | 2 Q | 23 | 8 | 진출 실패 | |
나드자 프리즈 | 여자 BMX | 37.152 | 14 | colspan=2 | 19 | 7 | 진출 실패 |
3. 7. 다이빙
독일 다이빙 선수단은 2015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와 2016년 FINA 다이빙 월드컵 시리즈를 통해 올림픽에 개인전 5개, 싱크로나이즈드 3개 팀의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인 남자 싱크로나이즈드 플랫폼의 파트리크 하우스딩과 사샤 클라인을 포함하여 총 8명의 다이빙 선수(성별당 4명)가 2016년 6월 28일 독일 올림픽 선수단 명단의 두 번째 선수단에 포함되었다.[12][27]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스테판 페크 | 3m 스프링보드 | 423.50 | 9 Q | 354.20 | 17 | 진출 실패 | |
파트리크 하우스딩 | 440.00 | 6 Q | 413.50 | 10 Q | 498.90 | ||
사샤 클라인 | 10m 플랫폼 | 463.40 | 7 Q | 475.00 | 5 Q | 424.15 | 9 |
마르틴 볼프람 | 468.80 | 6 Q | 466.15 | 8 Q | 492.90 | 5 | |
스테판 페크 파트리크 하우스딩 | 3m 싱크로나이즈드 스프링보드 | colspan=4 | 410.10 | 4 | |||
파트리크 하우스딩 사샤 클라인 | 10m 싱크로나이즈드 플랫폼 | colspan=4 | 438.42 | 4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티나 푼첼 | 3m 스프링보드 | 307.95 | 13 Q | 291.60 | 17 | 진출 실패 | |
노라 섭신스키 | 302.05 | 16 Q | 308.25 | 12 Q | 317.10 | 9 | |
마리아 쿠르요 | 10m 플랫폼 | 287.00 | 21 | 진출 실패 | |||
엘레나 바센 | 291.90 | 16 Q | 276.70 | 17 | 진출 실패 | ||
티나 푼첼 노라 섭신스키 | 3m 싱크로나이즈드 스프링보드 | colspan=4 | 284.25 | 7 |
3. 8. 승마
독일은 2014년 국제 승마 연맹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 우승하며 마장마술에서 완전한 팀 자격을 획득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은 최초의 3개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28] 종합마술 팀 또한 같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29]개인 마장마술에서 크리스티나 브뢰링-슈프레는 데스페라도스를 타고 동메달을 획득했고, 이사벨 베르트는 바이헤골트를 타고 은메달을 획득했다.[28] 도로테 슈나이더는 쇼타임을 타고 6위를 기록했다. 단체 마장마술에서는 크리스티나 브뢰링-슈프레, 죈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이사벨 베르트가 금메달을 획득했다.[28]
개인 종합마술에서는 미하엘 융이 Sam을 타고 금메달을 획득했다.[29] 산드라 아우파르트는 11위, 잉그리드 클림케는 14위를 기록했다. 단체 종합마술에서는 산드라 아우파르트, 미하엘 융, 잉그리드 클림케, 율리아 크라예프스키가 은메달을 획득했다.[29]
개인 장애물에서는 크리스티안 아흘만과 다니엘 도이서가 각각 9위를 기록했다. 단체 장애물에서는 크리스티안 아흘만, 루드거 베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메러디스 미카엘스-베어바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3. 9. 펜싱
독일은 4명의 펜싱 선수를 올림픽 경기에 출전시켰다. 막스 하르퉁, 머티어스 사보 (이상 남자 사브르), 그리고 여자 플뢰레의 캐롤린 골루비츠키는 국제 펜싱 연맹(FIE) 조정 공식 랭킹에서 개인 상위 14위 안에 들어 독일 팀의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 그들은 남자 플뢰레에서 유럽 지역 상위 2명의 펜싱 선수 중 한 명으로, 네 번째 올림픽 출전을 앞두고 있는 페터 요피히와 합류했다.[30]선수 | 종목 | 32강 | 16강 | 8강 | 순위 |
---|---|---|---|---|---|
페터 요피히 | 남자 플뢰레 | 승 15–13 | 패 13–15 | 진출 실패 | - |
막스 하르퉁 | 남자 사브르 | 승 15–9 | 패 12–15 | 진출 실패 | - |
머티어스 사보 | 승 15–11 | 승 15–6 | 패 12–15 | - | |
캐롤린 골루비츠키 | 여자 플뢰레 | 패 9–14 | 진출 실패 | - |
3. 10. 필드 하키
2016년 하계 올림픽 필드하키에서 독일은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동메달을 획득했다.[31][32]'''요약'''
- FT – 정규 시간 이후.
- P – 페널티 슛아웃으로 결정된 경기.
팀 | 경기 | 조별 리그 | 8강 | 4강 | 결승 / | ||||||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순위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순위 | ||
독일 남자 | 남자 토너먼트 | 승 6–2 | 승 2–1 | 승 3–2 | 무 4–4 | 승 2–1 | 1 | 승 3–2 | 패 2–5 | 승 4–3P FT: 1–1 | |
독일 여자 | 여자 토너먼트 | 무 1–1 | 승 2–1 | 승 2–0 | 패 1–2 | 패 0–2 | 3 | 승 2–1 | 패 3–4P FT: 1–1 | 승 2–1 |
독일 남자 필드하키 팀은 2014-15 남자 FIH 하키 월드 리그 준결승에서 3위, 여자 필드하키 대표팀은 2014–15 여자 FIH 하키 월드 리그 준결승전에서 3위를 기록하며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었다.[31][32]
3. 11. 축구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녀 종목에 모두 출전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33][34] 남자 대표팀은 은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대표팀은 금메달을 획득했다.남자 대표팀은 조별 예선에서 멕시코, 대한민국과 무승부를 기록하고 피지를 10-0으로 대파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33] 8강에서 포르투갈을 4-0으로, 준결승에서 나이지리아를 2-0으로 꺾었으나, 결승에서 브라질과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5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대표팀은 조별 예선에서 짐바브웨를 6-1로 대파하고 오스트레일리아와 2-2로 비겼으나, 캐나다에 1-2로 패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34] 8강에서 중국을 1-0으로, 준결승에서 캐나다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 스웨덴을 2-1로 누르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3. 12. 골프
독일은 올림픽 토너먼트에 4명의 골프 선수(성별당 2명)를 출전시켰다. 알렉스 체이카(세계 랭킹 143위), 마르틴 카이머(세계 랭킹 52위), 산드라 갈(세계 랭킹 55위), 캐롤라인 마손(세계 랭킹 77위)은 2016년 7월 11일 기준 IGF 세계 랭킹을 기준으로 각 개인별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상위 60명의 선수에 직접 포함되어 자격을 얻었다.[13][35][36]선수 | 종목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합계 | ||
---|---|---|---|---|---|---|---|---|
점수 | 점수 | 점수 | 점수 | 점수 | 파 | 순위 | ||
알렉스 체이카 | 남자 | 67 | 71 | 74 | 69 | 281 | −3 | =21 |
마르틴 카이머 | 69 | 72 | 72 | 66 | 279 | −5 | =15 | |
산드라 갈 | 여자 | 71 | 74 | 69 | 69 | 283 | −1 | =25 |
캐롤라인 마손 | 69 | 69 | 75 | 69 | 282 | −2 | =21 |
3. 13. 체조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 체조 전 종목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37][38] 남자 기계체조 대표팀에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마르셀 응우옌과 올림픽에 세 번 출전한 파비안 함뷔헨이 포함되었다.[39] 여자 기계체조 대표팀과 함께 남자 대표팀은 2016년 7월 10일 두 차례의 독일 올림픽 선발전을 거쳐 확정되었다.[39]남자남자 기계체조 단체전에서 독일은 예선에서 261.518점으로 8위를 기록하여 결선에 진출했다.[37] 결선에서는 261.095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37]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구 | 합계 | 순위 | 기구 | 합계 | 순위 | ||||||||||||
안드레아스 브레츠슈나이더 | 단체 | 14.800 | 13.641 | 14.158 | 14.633 | 14.833 | 13.633 | 85.698 | 24 Q | 14.533 | 13.516 | 14.466 | 14.466 | 14.466 | colspan=2 rowspan=5 | ||
루카스 다우저 | 13.733 | 13.916 | 13.833 | 15.266 | colspan=3 | 14.066 | 13.800 | 14.783 | 15.500 | ||||||||
파비안 함뷔헨 | 14.041 | colspan=2 | 15.166 | 15.533 Q | 14.666 | colspan=2 | 15.091 | 15.666 | |||||||||
마르셀 응우옌 | 14.500 | 13.433 | 14.733 | 14.600 | 15.466 | 13.366 | 86.098 | 22 Q | 14.333 | 13.366 | 14.866 | 14.666 | 15.466 | 14.400 | |||
안드레아스 토바 | 1.633 | 14.233 | colspan=3 | 14.633 | colspan=2 | colspan=6 | |||||||||||
합계 | 43.341 | 41.607 | 42.807 | 44.399 | 45.565 | 43.799 | 261.518 | 8 Q | 43.352 | 40.948 | 43.132 | 44.540 | 45.391 | 43.732 | 261.095 | 7 |
개인전에서는 파비안 함뷔헨이 철봉 종목에서 15.76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37] 마르셀 응우옌과 안드레아스 브레츠슈나이더는 개인 종합에 출전하여 각각 19위와 20위를 기록했다.
선수 | 종목 | 기구 | 합계 | 순위 | |||||
---|---|---|---|---|---|---|---|---|---|
안드레아스 브레츠슈나이더 | 개인 종합 | 14.733 | 13.500 | 13.833 | 14.533 | 14.533 | 13.833 | 84.965 | 20 |
파비안 함뷔헨 | 철봉 | colspan=5 | 15.766 | 15.766 | |||||
마르셀 응우옌 | 개인 종합 | 14.733 | 12.666 | 14.600 | 14.666 | 14.900 | 14.466 | 86.031 | 19 |
여자여자 기계체조 단체전에서 독일은 예선에서 173.263점으로 6위를 기록하여 결선에 진출했다.[37] 결선에서는 173.672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37]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기구 | 합계 | 순위 | 기구 | 합계 | 순위 | ||||||||
타베아 알트 | 단체 | 14.833 | 14.666 | 14.233 | colspan=3 | 14.800 | 14.600 | colspan=2 rowspan=5 | |||||
김 부이 | 14.800 | 13.766 | colspan=2 | 14.900 | 13.466 | ||||||||
폴린 셰퍼 | 14.400 | 14.400 | 14.300 | colspan=2 | 14.266 | 14.500 | 14.375 | ||||||
소피 셰더 | 13.966 | 15.433 Q | 12.933 | 13.266 | 55.598 | 23 Q | 13.933 | 15.466 | colspan=2 | ||||
엘리자베스 자이츠 | 14.100 | 15.466 Q | 13.866 | 13.666 | 57.098 | 10 Q | 15.533 | 14.000 | 13.833 | ||||
합계 | 43.333 | 45.699 | 42.499 | 41.732 | 173.263 | 6 Q | 42.999 | 45.899 | 43.100 | 41.674 | 173.672 | 6 |
개인전에서는 소피 셰더가 평행봉에서 15.566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37] 엘리자베스 자이츠와 소피 셰더는 개인 종합에도 출전하여 각각 17위와 23위를 기록했다.
선수 | 종목 | 기구 | 합계 | 순위 | |||
---|---|---|---|---|---|---|---|
소피 셰더 | 개인 종합 | 14.033 | 13.950 | 12.666 | 13.258 | 53.907 | 23 |
평행봉 | 15.566 | colspan=2 | 15.566 | ||||
엘리자베스 자이츠 | 개인 종합 | 14.100 | 15.233 | 13.200 | 13.833 | 56.366 | 17 |
평행봉 | 15.533 | colspan=2 | 15.533 | 4 |
리듬체조에서는 야나 베레즈코-마르그란더가 개인 종합 예선에서 68.249점으로 18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40] 나탈리 헤르만, 아나스타시야 크멜니츠카, 다니엘라 포타포바, 율리아 스타비츠카야, 시나 트칼체비치로 구성된 단체는 예선에서 32.400점으로 10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40][41]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후프 | 볼 | 클럽 | 리본 | 합계 | 순위 | 후프 | 볼 | 클럽 | 리본 | 합계 | 순위 | ||
야나 베레즈코-마르그란더 | 개인 종합 | 17.100 | 16.983 | 17.100 | 17.066 | 68.249 | 18 | 진출 실패 |
선수 | 종목 | 예선 | 결선 | ||||||
---|---|---|---|---|---|---|---|---|---|
5 리본 | 3 클럽 2 후프 | 합계 | 순위 | 5 리본 | 3 클럽 2 후프 | 합계 | 순위 | ||
나탈리 헤르만 아나스타시야 크멜니츠카 다니엘라 포타포바 율리아 스타비츠카야 시나 트칼체비치 | 단체 | 15.650 | 16.750 | 32.400 | 10 | 진출 실패 |
트램펄린에서는 레오니 아담이 여자 예선에서 97.885점으로 10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42]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레오니 아담(Leonie Adam) | 여자 | 97.885 | 10 | 진출 실패 |
3. 14. 핸드볼

남자 토너먼트에서 독일 남자팀은 폴란드에서 열린 2016년 유럽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하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43]
조별 리그에서 독일은 스웨덴을 32-29, 폴란드를 32-29, 슬로베니아를 28-25, 이집트를 31-25로 이겼으나, 브라질에 30-33으로 패하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카타르를 34-22로 이겼으나, 준결승에서 프랑스에 28-29로 패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폴란드를 31-25로 이기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팀 | 종목 | 조별 리그 | 8강 | 4강 | 결승/ | ||||||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순위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순위 | ||
독일 남자 | 남자 토너먼트 | 승 32–29 | 승 32–29 | 패 30–33 | 승 28–25 | 승 31–25 | 1 | 승 34–22 | 패 28–29 | 승 31–25 |
3. 15. 유도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 유도 종목에 총 13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44][45] 이 중 12명(남자 6명, 여자 6명)은 2016년 5월 30일 국제 유도 연맹(IJF) 세계 랭킹에서 남자부 상위 22위, 여자부 상위 14위 안에 들어 출전 자격을 얻었고, 마르크 오덴탈은 유럽 지역 쿼터로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44][45]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출전했던 토비아스 잉글마이어와 미리암 로퍼를 포함한 유도 팀은 2016년 6월 6일에 발표되었다.[44][45]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64강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패자부활전 | 결승 / | |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순위 | ||
토비아스 잉글마이어 | –60 kg | 승 001–000 | 패 000–001 | 진출 실패 | |||||
세바스티안 자이들 | –66 kg | 패 000–100 | 진출 실패 | ||||||
이고르 반트케 | –73 kg | 승 000–000 | 패 000–010 | 진출 실패 | |||||
스벤 마레슈 | –81 kg | 패 000–101 | 진출 실패 | ||||||
마르크 오덴탈 | –90 kg | 패 000–100 | 진출 실패 | ||||||
카를-리하르트 프라이 | –100 kg | 승 100–000 | 승 100–000 | 패 000–011 | 진출 실패 | 승 100–000 | 패 000–100 | 5 | |
안드레 브라이트바르트 | +100 kg | 패 000–100 | 진출 실패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패자부활전 | 결승 / | |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순위 | ||
마린 크라 | –52 kg | 승 011–001 | 패 000–001 | 진출 실패 | ||||
미리암 로퍼 | –57 kg | 패 000–100 | 진출 실패 | |||||
마르티나 트라이다스 | –63 kg | 패 000–000 | 진출 실패 | |||||
라우라 바르가스 코흐 | –70 kg | 승 000–000 | 승 100–000 | 패 000–010 | 승 010–000 | |||
루이제 말잔 | –78 kg | 승 000–000 | 패 000–000 | 진출 실패 | 승 100–000 | 패 000–100 | 5 | |
야스민 퀼브스 | +78 kg | 패 000–101 | 진출 실패 |
3. 16. 근대 5종
독일 선수들은 근대5종 경기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다. 2008년 올림픽 챔피언인 레나 쉐네본은 2015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주어진 8개의 올림픽 출전권 중 2개를 획득하여 여자부 출전을 확정했고, 그녀의 팀 동료인 아니카 슐로이는 2016년 6월 1일 기준 국제 근대5종 연맹(UIPM) 세계 랭킹에서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46] 파트리크 도구와 크리스티안 질레켄스는 UIPM으로부터 남자부 출전 초청을 받았는데, 이는 세계 랭킹에서 아직 자격을 얻지 못한 상위 3명의 근대5종 선수에게 주어졌다.[47]선수 | 종목 | 펜싱 (에페 원터치) | 수영 (200m 자유형) | 승마 (장애물) | 복합: 사격/육상 (10m 공기 권총)/(3200m) | 총점 | 최종 순위 | |||||||||
---|---|---|---|---|---|---|---|---|---|---|---|---|---|---|---|---|
순위 | MP 점수 | 시간 | 순위 | MP 점수 | 벌점 | 순위 | MP 점수 | 시간 | 순위 | MP 점수 | ||||||
파트리크 도구 | 남자 | 23–12 | 2 | 2 | 240 | 2:07.65 | 31 | 318 | 12 | 12 | 288 | 11:23.36 | 14 | 617 | 1463 | 6 |
크리스티안 질레켄스 | 16–19 | 0 | 26 | 196 | 2:06.24 | 28 | 322 | 14 | 14 | 286 | 11:27.45 | 17 | 613 | 1417 | 21 | |
아니카 슐로이 | 여자 | 17–18 | 0 | 16 | 202 | 2:19.34 | 21 | 282 | 7 | 12 | 293 | 12:21.95 | 3 | 559 | 1336 | 5 |
레나 쉐네본 | 24–11 | 0 | 2 | 244 | 2:21.74 | 29 | 275 | 31 | 0 | 12:54.21 | 14 | 526 | 1045 | 32 |
3. 17. 조정
독일은 올림픽 레가타에 출전하기 위해 14개 보트 중 10개의 출전권을 획득했다.[12] 대부분의 조정 선수단은 프랑스 아예글레트 호에서 열린 2015년 FISA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12] 스위스 루체른에서 열린 2016년 유럽 & 최종 예선 레가타에서 남자 경량급 4인승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상위 2위 안에 들어 독일 선수단에 추가되었다.[12]2016년 6월 28일에 발표된 독일 선수단의 두 번째 선수단에 총 35명의 조정 선수(남자 25명, 여자 10명)가 공식적으로 선발되었다.[12]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인 마르셀 하커는 다섯 번째 올림픽에 출전하여 슈테판 크뤼거와 함께 남자 더블 스컬에 출전했다.[12]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마르셀 하커 슈테판 크뤼거 | 더블 스컬 | 6:31.85 | 3 SA/B | 경기 없음 | 6:18.32 | 4 FB | 6:58.86 | 8 | |
모리츠 모스 야손 오스본 | 경량급 더블 스컬 | 6:40.48 | 4 R | 7:05.36 | 1 SA/B | 6:35.90 | 6 FB | 6:32.30 | 9 |
안톤 브라운 막시밀리안 코르게 막스 플라너 펠릭스 빔버거 | 무타페어 | 5:59.74 | 2 SA/B | 경기 없음 | 6:35.90 | 6 FB | 6:06.24 | 12 | |
토비아스 프란츠만 요나탄 코흐 루카스 셰퍼 라르스 비허트 | 경량급 무타페어 | 6:14.87 | 4 R | 6:03.29 | 2 SA/B | 6:18.43 | 6 FB | 6:35.83 | 9 |
한스 그루네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필리프 벤데 | 쿼드러플 스컬 | 5:53.63 | 3 R | 5:51.43 | 1 FA | colspan=2| | 6:06.81 | ||
펠릭스 드라호타 말테 야크시크 에릭 요하네센 안드레아스 쿠프너 막시밀리안 문스키 하네스 오치크 막시밀리안 라이넬트 리하르트 슈미트 마르틴 자우어 (키잡이) | 에이트 | 5:38.22 | 1 FA | 경기 없음 | colspan=2| | 5:30.96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패자부활전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케르스틴 하르트만 카트린 마르찬트 | 무타페어 | 7:17.98 | 3 SA/B | 경기 없음 | 7:39.79 | 5 FB | 7:18.57 | 8 | |
마라이케 아담스 마리-카테린 아르놀트 | 더블 스컬 | 7:13.49 | 4 R | 7:00.54 | 2 SA/B | 6:58.70 | 5 FB | 7:39.82 | 7 |
마리-루이즈 드레거 피니 슈투름 | 경량급 더블 스컬 | 7:11.08 | 3 R | 8:02.28 | 2 SA/B | 7:33.21 | 6 FB | 7:32.73 | 11 |
카리나 베어 율리아 리어 리사 슈미들라 안네카트린 틸레 | 쿼드러플 스컬 | 6:30.86 | 1 FA | 경기 없음 | colspan=2| | 6:49.39 |
예선 표기: '''FA'''=결승 A (메달); '''FB'''=결승 B (비메달); '''FC'''=결승 C (비메달); '''FD'''=결승 D (비메달); '''FE'''=결승 E (비메달); '''FF'''=결승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3. 18. 요트
독일 요트 선수들은 2014년 ISAF 세계 요트 선수권 대회, 개별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예선 레가타를 통해 각 종목별로 한 척의 배를 확보했다.[48] 2개의 스키프 팀(하일 & 플뢰젤, 유르초크 & 로렌츠)과 2회 올림픽 윈드서퍼 토니 빌헬름은 프린세사 소피아 트로피 레가타가 끝난 후 올림픽 팀에 선발된 첫 번째 독일 요트 선수 중 한 명이었다.[49] 470 팀(게르츠 & 시만스키, 보흐만 & 스타이너)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으며, 레이저 선수 필리프 불은 프랑스 예르에서 열린 ISAF 월드컵 대회에서 독일 선수단 구성을 마무리했다. 요트 선수단은 2016년 5월 31일 올림픽 선수 명단의 첫 번째 지명 선수 그룹의 일환으로 공식 발표되었다.[10]남자부 경기에서는 토니 빌헬름이 RS:X 종목에서 6위를, 필리프 불이 레이저 종목에서 14위를 기록했다. 페르디난트 게르츠와 올리버 시만스키는 470 종목에서 11위를 차지했고, 에리크 하일과 토마스 플뢰젤은 49er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부 경기에서는 아니카 보흐만과 말레네 스타이너가 470 종목에서 18위, 빅토리아 유르초크와 아니카 로렌츠는 49erFX 종목에서 9위를 기록했다. 혼성 경기에서는 파울 콜호프와 캐롤라이나 베르너가 나크라 17 종목에서 13위를 차지했다.
선수 | 종목 | 경기 | 합계 점수 | 최종 순위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M* | ||||
토니 빌헬름 | RS:X | 8 | 4 | 13 | 10 | 9 | 4 | 1 | 7 | 7 | 8 | 19 | 10 | 100 | 6 | |
필리프 불 | 레이저 | 16 | 16 | 8 | 13 | 17 | 13 | 1 | 25 | 17 | colspan=2 | EL | 126 | 14 | ||
페르디난트 게르츠 올리버 시만스키 | 470 | 13 | 18 | 9 | 23 | 14 | 1 | 6 | 4 | 6 | colspan=2 | EL | 94 | 11 |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플뢰젤 | 49er | 6 | 3 | 1 | 3 | 5 | 13 | 15 | 4 | 5 | 10 | 4 | 16 | 83 | ||
아니카 보흐만 말레네 스타이너 | 470 | 12 | 16 | 17 | 15 | 3 | 6 | 14 | DSQ | 17 | colspan=2 | EL | 121 | 18 | ||
빅토리아 유르초크 아니카 로렌츠 | 49erFX | 8 | 8 | 7 | 6 | 7 | 17 | 10 | 7 | 9 | 6 | 9 | 16 | 110 | 9 | |
파울 콜호프 캐롤라이나 베르너 | 나크라 17 | 14 | 10 | 10 | 17 | 8 | 13 | 5 | 10 | 2 | 9 | 14 | EL | 112 | 13 |
'''M''' = 메달 레이스; EL = 탈락 - 메달 레이스 진출 실패
3. 19. 사격
독일 사격 선수들은 2014년 ISSF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와 2015년 ISSF 월드컵 시리즈, 유럽 선수권 대회 등에서 최고 성적을 거두어 2016년 하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50] 2016년 5월 24일, 헨리 융헤넬, 바르바라 엥글레더, 크리스티안 라이츠 등이 포함된 사격 팀이 발표되었다.[51] 이후 안드레아스 뢰브, 크리스틴 벤젤, 랄프 부흐하임, 야나 베크만 등이 추가로 명단에 포함되었다.[52]엥글레더가 출전 자격을 확보한 여자 소총 두 종목 중 하나는 여자 25m 권총으로 변경되어 모니카 카르슈에게 출전권이 돌아갔다.[53]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선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다니엘 브로드마이어 | 50m 소총 복사 | 619.2 | 37 | colspan=2 | 진출 실패 | ||
50m 소총 3자세 | 1177 | 2 Q | colspan=2 | 435.6 | 4 | ||
랄프 부흐하임 | 스키트 | 116 | 23 | 진출 실패 | |||
올리버 가이스 | 25m 속사 권총 | 572 | 17 | colspan=2 | 진출 실패 | ||
미하엘 얀커 | 10m 공기 소총 | 620.8 | 29 | colspan=2 | 진출 실패 | ||
헨리 융헤넬 | 50m 소총 복사 | 627.8 | 8 Q | colspan=2 | 209.5 | ||
율리안 유스투스 | 10m 공기 소총 | 622.8 | 18 | colspan=2 | 진출 실패 | ||
앙드레 링크 | 50m 소총 3자세 | 1174 | 7 Q | colspan=2 | 424.6 | 5 | |
안드레아스 뢰브 | 더블 트랩 | 140 | 1 Q | 25 | 6 | 진출 실패 | |
크리스티안 라이츠 | 25m 속사 권총 | 592 | 1 Q | colspan=2 | 34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선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야나 베크만 | 트랩 | 61 | 19 | 진출 실패 | |||
바르바라 엥글레더 | 10m 공기 소총 | 420.3 | 2 Q | colspan=2 | 165.0 | 4 | |
50m 소총 3자세 | 583 | 5 Q | colspan=2 | 458.6 | |||
셀리나 그슈반트너 | 10m 공기 소총 | 414.8 | 13 | colspan=2 | 진출 실패 | ||
모니카 카르슈 | 10m 공기 권총 | 379 | 25 | colspan=2 | 진출 실패 | ||
25m 권총 | 583 | 4 Q | 18 | 2 Q | 6 | ||
에바 뢰스켄 | 50m 소총 3자세 | 579 | 14 | colspan=2 | 진출 실패 | ||
크리스틴 벤젤 | 스키트 | 68 | 11 | 진출 실패 |
예선 범례: '''Q''' = 다음 라운드 진출; '''q''' = 동메달 결정전 진출(산탄총)
3. 20. 수영
독일 수영 선수들은 베를린에서 열린 독일 올림픽 선발전(5월 5일~8일)과 마레 노스트럼 투어, 독일 오픈 등에서 올림픽 출전 기준 기록을 달성했다.[54][55]독일 수영 연맹(DSV)은 2016년 7월 12일, 총 27명(남자 16명, 여자 11명)의 올림픽 수영 대표팀을 선발했다.[56][57] 여기에는 2회 세계 기록 보유자 파울 비더만,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 마르코 코흐(200m 평영), 12년 만에 올림픽에 복귀하는 도로테아 브란트 등이 포함되었다.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파울 비더만 | 200m 자유형 | 1:45.78 | 2 Q | 1:45.69 | =4 Q | 1:45.84 | 6 |
슈테펜 디블러 | 100m 접영 | 52.14 | 18 | 진출 실패 | |||
크리스티안 디너 | 200m 배영 | 1:56.62 | 9 Q | 1:56.37 | 8 Q | 1:56.27 | 7 |
크리스토프 필데브란트 | 200m 자유형 | 1:47.81 | 28 | 진출 실패 | |||
얀-필립 글라니아 | 100m 배영 | 53.87 | 15 Q | 53.94 | 12 | 진출 실패 | |
200m 배영 | 1:56.50 | =6 Q | 1:56.53 | 9 | 진출 실패 | ||
야코프 하이트만 | 400m 개인 혼영 | colspan=2 | 진출 실패 | ||||
필리프 하인츠 | 200m 개인 혼영 | 1:57.59 NR | 2 Q | 1:58.85 | 8 Q | 1:57.48 | 6 |
요하네스 힌체 | 400m 개인 혼영 | 4:18.25 | 18 | colspan=2 | 진출 실패 | ||
뵨 호르니켈 | 100m 자유형 | 49.62 | 39 | 진출 실패 | |||
마르코 코흐 | 200m 평영 | 2:08.98 | 5 Q | 2:08.12 | 7 Q | 2:08.00 | 7 |
클레멘스 라프 | 400m 자유형 | 3:49.10 | 24 | colspan=2 | 진출 실패 | ||
크리스티안 라이허트 | 10km 오픈 워터 | colspan=4 | 1:53:04.7 | 9 | |||
플로리안 포겔 | 400m 자유형 | 3:45.49 | 9 | colspan=2 | 진출 실패 | ||
크리스티안 폼 레른 | 100m 평영 | 1:00.13 | 15 Q | 1:00.23 | 12 | 진출 실패 | |
플로리안 벨로크 | 1500m 자유형 | 15:23.88 | 32 | colspan=2 | 진출 실패 | ||
다미안 비얼링 | 50m 자유형 | 22.18 | 19 | 진출 실패 | |||
100m 자유형 | 48.35 | 7 Q | 48.66 | 15 | 진출 실패 | ||
슈테펜 디블러 뵨 호르니켈 다미안 비얼링 필리프 볼프 | 4 × 100m 자유형 계영 | 3:14.97 | 11 | colspan=2 | 진출 실패 | ||
파울 비더만 크리스토프 필데브란트 클레멘스 라프 플로리안 포겔 | 4 × 200m 자유형 계영 | 7:07.66 | 4 Q | colspan=2 | 7:07.28 | 6 | |
슈테펜 디블러 얀-필립 글라니아 마르코 코흐 크리스티안 폼 레른 다미안 비얼링 | 4 × 100m 혼계영 | 3:33.67 | 8 Q | colspan=2 | 3:33.50 | 7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준결승 | 결승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레오니 베크 | 800m 자유형 | 8:47.47 | 25 | colspan=2 | 진출 실패 | ||
도로테아 브란트 | 50m 자유형 | 24.77 | =13 Q | 24.71 | 14 | 진출 실패 | |
아니카 브룬 | 200m 자유형 | 1:58.48 | 20 | 진출 실패 | |||
리사 그라프 | 200m 배영 | 2:08.67 | =4 Q | 2:09.56 | 14 | 진출 실패 | |
이자벨 헤를레 | 10km 오픈 워터 | colspan=4 | 1:57:22.1 | 6 | |||
프란치스카 헨트케 | 200m 접영 | 2:07.59 | 9 Q | 2:07.67 | 11 | 진출 실패 | |
400m 개인 혼영 | 4:43.32 | 21 | colspan=2 | 진출 실패 | |||
사라 쾰러 | 400m 자유형 | 4:06.55 | 10 | colspan=2 | 진출 실패 | ||
800m 자유형 | 8:24.65 | 7 Q | colspan=2 | 8:27.75 | 8 | ||
제니 멘싱 | 200m 배영 | 2:10.68 | 16 Q | 2:10.15 | 16 | 진출 실패 | |
알렉산드라 벤크 | 100m 접영 | 58.49 | 21 | 진출 실패 | |||
200m 개인 혼영 | 2:12.46 | 13 Q | 2:12.13 | 12 | 진출 실패 | ||
아니카 브룬 사라 쾰러 레오니 쿨만 파울리나 슈미델 | 4 × 200m 자유형 계영 | 7:56.74 | 12 | colspan=2 | 진출 실패 | ||
아니카 브룬 리사 그라프 바네사 그림베르크 알렉산드라 벤크 | 4 × 100m 혼계영 | 4:02.19 | 12 | colspan=2 | 진출 실패 |
3. 21. 탁구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 탁구 종목에 6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 디미트리 오브차로프는 2015년 유럽 경기 대회 남자 단식에서 우승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확보했다. 티모 볼, 한잉, 페트리사 졸리아는 스웨덴 할름스타드에서 열린 유럽 예선 토너먼트에서 남은 출전권을 획득했다.[58][59] 바스티안 슈테거와 산샤오나는 ITTF 올림픽 랭킹에서 유럽 국가 중 최고 순위에 올라, 남자 및 여자 팀을 구성하기 위해 각각 세 번째 출전권을 받았다.[60]남자 단식에서 티모 볼은 16강에서 쿼드리 아루나(나이지리아)에게 2-4로 패했고, 디미트리 오브차로프는 8강에서 블라디미르 삼소노프(벨라루스)에게 2-4로 패했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티모 볼, 디미트리 오브차로프, 바스티안 슈테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단식에서 한잉은 8강에서 딩닝(중국)에게 0-4로 패했고, 페트리사 졸리아는 3라운드에서 리명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0-4로 패했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한잉, 산샤오나, 페트리사 졸리아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선수 | 종목 | 예선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순위 | ||
티모 볼 | 단식 | colspan=3 | 승 4–3 | 패 2–4 | 진출 실패 | |||||
디미트리 오브차로프 | colspan=3 | 승 4–3 | 승 4–1 | 패 2–4 | 진출 실패 | |||||
티모 볼 디미트리 오브차로프 바스티안 슈테거 | 단체 | colspan=4 | 승 3–1 | 승 3–1 | 패 1–3 | 승 3–1 |
선수 | 종목 | 예선 |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상대 결과 | 순위 | ||
한잉 | 단식 | colspan=3 | 승 4–0 | 승 4–1 | 패 0–4 | 진출 실패 | ||||
페트리사 졸리아 | colspan=3 | 패 0–4 | 진출 실패 | |||||||
한잉 산샤오나 페트리사 졸리아 | 단체 | colspan=4 | 승 3–0 | 승 3–1 | 승 3–2 | 패 0–3 |
3. 22. 태권도
독일은 올림픽 태권도 대회에 3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61] 레벤트 툰카트와 타히르 귈레치는 각 체급에서 세계 태권도 연맹(WTF) 올림픽 랭킹 6위 안에 들어 자동 출전 자격을 얻었다.[61] 라비아 귈레치는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2016년 유럽 태권도 올림픽 예선 대회 여자 웰터급(67kg)에서 획득한 성적으로 독일 팀의 세 번째 자리를 확보했다.[61]선수 | 종목 | 16강 | 8강 | 준결승 | 패자부활전 | 결승 / 동메달 결정전 | 순위 |
---|---|---|---|---|---|---|---|
레벤트 툰카트 | 남자 −58 kg | 피에 () 패 | 진출 실패 | ||||
타히르 귈레치 | 남자 −80 kg | 에르난데스 () 승 4–2 | 시세 () 패 1–7 | 진출 실패 | 파진스키 () 패 5–6 | 진출 실패 | 7 |
라비아 귈레치 | 여자 −67 kg | 바리시니코바 () 승 9–8 | 타타르 () 패 1–5 | 진출 실패 |
3. 23. 테니스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토너먼트에 남자 3명, 여자 5명, 총 8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다.[62][63] 알렉산더 즈베레프는 신체적인 문제로 인해 2016년 7월 30일 올림픽 불참을 발표했다.[64]남자 단식에서는 더스틴 브라운이 벨루치(브라질)와의 경기에서 6–4, 4–5 상황에서 기권패했고, 필리프 콜슈라이버는 펠라(아르헨티나)를 4–6, 6–1, 6–2로 이겼으나 마틴(슬로바키아)에게 기권패했으며, 얀-레나르트 스트루프는 돈스코이(러시아)에게 3–6, 4–6으로 패했다.
여자 단식에서는 아니카 베크가 콘유(크로아티아)에게 6–2, 1–6, 3–6으로 패했고, 안드레아 페트코비치는 스비톨리나(우크라이나)에게 6–7, 1–6으로 패했다. 라우라 지게문트는 피론코바(불가리아), 장솨이(중국), 플립켄스(벨기에)를 차례로 꺾었으나 8강에서 푸이그(푸에르토리코)에게 1–6, 1–6으로 패했다. 안젤리크 케르버는 두케(콜롬비아), 부샤르(캐나다), 스토서(오스트레일리아), 콘타(영국), 키스(미국)를 차례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푸이그에게 4–6, 6–4, 1–6으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복식에서는 안나-레나 그뢰네펠트와 라우라 지게문트 조가 카사트키나/쿠즈네초바(러시아) 조에 1–6, 4–6으로 패했고, 안젤리크 케르버와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조는 에라니/빈치(이탈리아) 조에 2–6, 2–6으로 패했다.
3. 24. 트라이애슬론
독일은 올림픽 여자 트라이애슬론 종목에 2명의 선수를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 출전 선수인 안네 하우그와 라우라 린데만은 2016년 5월 15일 기준 국제 트라이애슬론 연맹(ITU) 올림픽 출전 자격 목록에 따라 상위 40위 안에 들어 출전 자격을 얻었다.[13]선수 | 종목 | 수영 (1.5 km) | 환승 1 | 사이클 (40 km) | 환승 2 | 달리기 (10 km) | 총 시간 | 순위 |
---|---|---|---|---|---|---|---|---|
안네 하우그 | 여자 | 21:11 | 0:57 | 1:04:50 | 0:40 | 35:18 | 2:02:56 | 36 |
라우라 린데만 | 19:18 | 0:54 | 1:04:30 | 0:43 | 36:27 | 2:01:52 | 28 |
3. 25. 배구
독일은 2016년 6월 13일 기준 FIVB 올림픽 랭킹에서 남자 1개 조와 여자 2개 조가 국가별 상위 15위 안에 들어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65][66]여자 비치발리볼에서는 두 번의 올림픽 출전 경험이 있는 라우라 루드비히와 키라 발켄호르스트가 팀을 이루어 출전했다. 이들은 D조 예선에서 이집트, 캐나다, 이탈리아를 차례로 꺾고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 스위스, 8강에서 캐나다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 브라질의 탈리타 안투네스와 라리사 프랑사 조를 2-0(21-18, 21-12)으로 꺾었다. 결승에서는 브라질의 아가타 베드나르추크와 바르바라 세익사스 조를 만나 2-0(21-18, 21-14)으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남자 비치발리볼에서는 마르쿠스 뵈케르만과 라스 플뤼겐이 B조 예선에서 폴란드, 네덜란드, 러시아에 모두 패하며 4위로 탈락했다.
여자 비치발리볼의 카를라 보르거와 브리타 뷔테는 E조 예선에서 스위스와 네덜란드에 1승 1패를 기록, 캐나다에 패배하여 3위를 기록했다. 이후 '행운의 루저' 경기에서 베네수엘라를 꺾고 16강에 진출했으나, 브라질에 패배하여 탈락했다.
선수 | 종목 | 예선 | 순위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상대 점수 | 순위 | |||
마르쿠스 뵈케르만 라스 플뤼겐 | 남자 | B조 패 0 – 2 (11–21, 21–23) 패 1 – 2 (21–19, 17–21, 16–14) 패 0 – 2 (14–21, 17–21) | 4 | 진출 실패 | ||||
카를라 보르거 브리타 뷔테 | 여자 | E조 패 0 – 2 (12–21, 16–21) 승 2 – 0 (21–19, 21–14) 패 0 – 2 (19–21, 15–21) 행운의 루저 승 2 – 0 (21–13, 21–8) | 3 q | 패 0 – 2 (17–21, 19–21) | 진출 실패 | |||
라우라 루드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D조 승 2 – 0 (21–12, 21–15) 승 2 – 0 (21–17, 21–11) 승 2 – 1 (21–18, 18–21, 15–9) | 1 Q | 승 2 – 0 (21–19, 21–10) | 승 2 – 0 (21–14, 21–14) | 승 2 – 0 (21–18, 21–12) | 승 2 – 0 (21–18, 21–14) |
3. 26. 역도
독일 역도 선수단은 2014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와 2015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의 팀 점수를 합산하여 리우 올림픽 출전권 남자 4명분을 확보했다. 2016년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독일이 국가별 순위 6위 안에 들어 여자 올림픽 출전권 1장이 추가되었다.[67]2016년 7월 2일에 올림픽 선수단이 발표되었으며, 알미르 벨라기치와 위르겐 슈피스는 두 번째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13][68]
선수 | 세부 종목 | 인상 | 용상 | 총점 | 순위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니코 뮐러 | 남자 −77 kg | 151 | 11 | 181 | 10 | 332 | 10 |
위르겐 슈피스 | 남자 −105 kg | 170 | 14 | 220 | 5 | 390 | 10 |
알렉세이 프로호로프 | 남자 +105 kg | 180 | 17 | 215 | 16 | 395 | 16 |
알미르 벨라기치 | 188 | 11 | 232 | 10 | 410 | 9 | |
사비네 쿠스테러 | 여자 −58 kg | 90 | 9 | 110 | 11 | 200 | 10 |
3. 27. 레슬링
독일은 2015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 그레코로만형 66kg과 여자 자유형 69kg에서 각각 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69] 2016년 유럽 예선 대회에서 상위 2위 결승에 진출하여 2장의 올림픽 출전권을 추가로 획득했다.[69] 이후 울란바토르와 이스탄불에서 열린 2016년 세계 레슬링 올림픽 예선 대회에서 3명의 선수가 추가로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여 총 7명의 레슬링 선수가 올림픽에 참가했다.[69]남자 그레코로만형에서는 데니스 쿠들라가 85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프랑크 슈타블러는 66kg급 7위, 에두아르트 포프는 130kg급 5위를 기록했다. 여자 자유형에서는 니나 헴머가 53kg급 14위, 루이자 니에메슈가 58kg급 20위, 알린 포켄이 69kg급 9위, 마리아 젤마이어가 75kg급 18위를 기록했다.
'''범례''':
- '''VT''' – 폴승.
- '''PP''' – 판정승 – 기술 점수가 있는 패자.
- '''PO''' – 판정승 – 기술 점수가 없는 패자.
- '''ST''' – 기술 우위 – 기술 점수가 없고, 8점(그레코로만형) 또는 10점(자유형) 이상의 점수 차이로 패한 선수.
4. 출전 선수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독일 선수단의 규모는 다음과 같다.
종목 | 남자 | 여자 | 전체 |
---|---|---|---|
양궁 | 1 | 1 | 2 |
육상 | 37 | 48 | 85 |
배드민턴 | 3 | 4 | 7 |
복싱 | 6 | 0 | 6 |
카누 | 12 | 9 | 21 |
사이클 | 15 | 14 | 29 |
다이빙 | 4 | 4 | 8 |
승마 | 7 | 5 | 12 |
펜싱 | 3 | 1 | 4 |
하키 | 16 | 16 | 32 |
축구 | 18 | 19 | 37 |
골프 | 2 | 2 | 4 |
체조 | 5 | 12 | 17 |
핸드볼 | 14 | 0 | 14 |
유도 | 7 | 6 | 13 |
근대5종 | 2 | 2 | 4 |
조정 | 25 | 10 | 35 |
요트 | 7 | 5 | 12 |
사격 | 9 | 6 | 15 |
수영 | 17 | 12 | 29 |
탁구 | 3 | 3 | 6 |
태권도 | 2 | 1 | 3 |
테니스 | 3 | 5 | 8 |
트라이애슬론 | 0 | 2 | 2 |
배구 | 2 | 4 | 6 |
역도 | 4 | 1 | 5 |
레슬링 | 3 | 4 | 7 |
전체 | 227 | 196 | 423 |
펜싱, 필드 하키, 축구, 핸드볼의 예비 선수는 선수로 간주되지 않는다.
5. 개요
6. 메달 집계
201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7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5개를 획득하여 총 42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미하엘 융 | 승마 | 개인 종합 마술 | 8월 9일 | |
필리프 벤데,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한스 그루네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1일 | |
안네카트린 틸레, 카리나 베어, 율리아 리어, 리사 슈미들라 | 조정 | 여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1일 | |
바바라 엥글레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8월 11일 | |
헨리 융헤넬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8월 12일 |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쇈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단체 마장마술 | 8월 12일 |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
크리스티안 라이츠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 8월 13일 |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 8월 16일 | |
파비안 함뷔헨 | 체조 | 남자 철봉 | 8월 16일 |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8월 16일 | |
라우라 루드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배구 | 여자 비치 발리볼 | 8월 17일 | |
막스 렌트슈미트,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 8월 18일 | |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알무트 슐트, 요제피네 헤닝, 사스키아 바르투시악, 레오니 마이어, 아니케 크란, 시모네 라우데어, 멜라니 베링어, 레나 괴슬링, 알렉산드라 포프, 제니퍼 마로잔, 안야 미타크, 타베아 켐메, 사라 데브리츠, 바베트 페터, 만디 이슬라커, 멜라니 로이폴츠, 이자벨 케르쇼프스키, 라우라 벤카르트, 스벤야 후트) | 축구 | 여자 | 8월 19일 |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반드레이 | 카누 | 남자 C-2 1000m | 8월 20일 | |
막스 렌트슈미트, 톰 리브셔,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4 1000m | 8월 20일 | |
토마스 뢰러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8월 20일 | |
산드라 아우파르트, 미하엘 융, 잉그리드 클림케, 율리아 크라예프스키 | 승마 | 단체 종합 마술 | 8월 9일 | |
모니카 카르쉬 | 사격 | 여자 25m 권총 | 8월 9일 | |
리사 운루 | 양궁 | 여자 개인전 | 8월 11일 | |
펠릭스 드라호타, 말테 야크식, 에릭 요하네센, 안드레아스 쿠프너, 막시밀리안 문스키, 하네스 오치크, 막시밀리안 라이넬트, 리하르트 슈미트, 마르틴 자우어 (키잡이) | 조정 | 남자 에이트 | 8월 13일 | |
안젤리크 케르버 | 테니스 | 여자 단식 | 8월 13일 |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개인 마장마술 | 8월 15일 | |
프란치스카 베버, 티나 디에체 | 카누 | 여자 K-2 500m | 8월 16일 | |
한잉, 페트리사 솔자, 산 샤오나 | 탁구 | 여자 단체 | 8월 16일 | |
사브리나 헤링, 프란치스카 베버,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티나 디에체 | 카누 | 여자 K-4 500m | 8월 20일 | |
독일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티모 혼, 제레미 톨리안, 루카스 클로스터만, 마티아스 긴터, 니클라스 슐레, 스벤 벤더, 막스 마이어, 라르스 벤더, 다비 셀케, 레온 고레츠카, 율리안 브란트, 야닉 후트, 필립 막스, 로베르트 바우어, 막스 크리스티안센, 그리샤 푀멜, 세르주 그나브리, 닐스 페테르센) | 축구 | 남자 | 8월 20일 | |
라우라 바르가스 코흐 | 유도 | 여자 70kg | 8월 10일 | |
크리스티나 포겔, 미리암 벨테 | 사이클 | 여자 단체 스프린트 | 8월 12일 | |
다니엘 야신스키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
소피 셰더 | 체조 | 여자 평행봉 | 8월 14일 |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 승마 | 개인 마장마술 | 8월 15일 | |
데니스 쿠들라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 | 8월 15일 | |
패트릭 하우징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8월 16일 | |
크리스티안 알만, 메레디스 미카엘스-비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루드거 베어바움 | 승마 | 단체 장애물 | 8월 17일 | |
드미트리 오브차로프, 티모 볼, 바스티안 슈테거 | 탁구 | 남자 단체 | 8월 17일 | |
독일 남자 필드 하키 국가대표팀 (리누스 부트, 모리츠 퓌르스테, 플로리안 푹스, 마츠 그람부쉬, 톰 그람부쉬, 마르틴 해너, 토비아스 하우케, 팀 허츠브루흐, 니콜라스 야코비, 마티아스 뮐러, 티무르 오루즈, 크리스토퍼 뤼르, 모리츠 트롬퍼츠, 니클라스 벨렌, 크리스토퍼 웨슬리, 마르틴 츠비커) | 필드하키 | 남자 | 8월 18일 |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플뢰셀 | 요트 | 49er | 8월 18일 | |
독일 여자 필드 하키 국가대표팀 (리사 한, 프란치스카 하우케, 한나 크뤼거, 니케 로렌츠, 마리 메버스, 율리아 뮐러, 야네 뮐러-비엘란트, 피아-소피 올트하퍼, 셀린 오루즈, 카타리나 오테, 세실리 파이퍼, 크리스티나 레이놀즈, 안네 뢰더, 리사 쉴츠, 아니카 슈프링크, 샬롯 슈테펜호르스트, 야나 테쉬케) | 필드하키 | 여자 | 8월 19일 | |
아르템 하르투니안 | 복싱 | 남자 라이트 웰터급 | 8월 19일 | |
로날트 라우헤 | 카누 | 남자 K-1 200m | 8월 20일 | |
독일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크리스티안 디싱거, 파울 드룩스, 우베 겐스하이머, 파트리크 그뢰츠키, 카이 헤프너, 실비오 하이네베터, 율리우스 퀜, 핀 렘케, 헨드릭 페켈러, 토비아스 라이히만, 마르틴 슈트로벨, 슈테펜 바인홀트, 파비안 비에데, 파트리크 비엔체크, 안드레아스 볼프) | 핸드볼 | 남자 | 8월 21일 |
카누 종목에서 세바스티안 브렌델과 마르쿠스 그로스, 막스 렌트슈미트는 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 다관왕을 차지했다. 또한, 카누 종목의 티나 디에체와 프란치스카 베버는 은메달 2개를 획득하여 다관왕을 차지했다.
종목 | 16px 금 | 16px 은 | 16px 동 | 합계 |
---|---|---|---|---|
카누 | 4 | 2 | 1 | 7 |
사격 | 3 | 1 | 0 | 4 |
승마 | 2 | 2 | 2 | 6 |
조정 | 2 | 1 | 0 | 3 |
육상 | 2 | 0 | 1 | 3 |
축구 | 1 | 1 | 0 | 2 |
사이클 | 1 | 0 | 1 | 2 |
체조 | 1 | 0 | 1 | 2 |
배구 | 1 | 0 | 0 | 1 |
탁구 | 0 | 1 | 1 | 2 |
양궁 | 0 | 1 | 0 | 1 |
테니스 | 0 | 1 | 0 | 1 |
필드하키 | 0 | 0 | 2 | 2 |
복싱 | 0 | 0 | 1 | 1 |
다이빙 | 0 | 0 | 1 | 1 |
핸드볼 | 0 | 0 | 1 | 1 |
유도 | 0 | 0 | 1 | 1 |
요트 | 0 | 0 | 1 | 1 |
레슬링 | 0 | 0 | 1 | 1 |
합계 | 17 | 10 | 15 | 42 |
날짜 | 16px 금 | 16px 은 | 16px 동 | 합계 |
---|---|---|---|---|
8월 6일 | 0 | 0 | 0 | 0 |
8월 7일 | 0 | 0 | 0 | 0 |
8월 8일 | 0 | 0 | 0 | 0 |
8월 9일 | 1 | 2 | 0 | 3 |
8월 10일 | 0 | 0 | 1 | 1 |
8월 11일 | 3 | 1 | 0 | 4 |
8월 12일 | 2 | 0 | 1 | 3 |
8월 13일 | 2 | 2 | 1 | 5 |
8월 14일 | 0 | 0 | 1 | 1 |
8월 15일 | 0 | 1 | 2 | 3 |
8월 16일 | 3 | 2 | 1 | 6 |
8월 17일 | 1 | 0 | 2 | 3 |
8월 18일 | 1 | 0 | 2 | 3 |
8월 19일 | 1 | 0 | 2 | 3 |
8월 20일 | 3 | 2 | 1 | 6 |
8월 21일 | 0 | 0 | 1 | 1 |
합계 | 17 | 10 | 15 | 42 |
성별 | 16px 금 | 16px 은 | 16px 동 | 합계 |
---|---|---|---|---|
남자 | 10 | 2 | 9 | 21 |
여자 | 5 | 6 | 5 | 16 |
혼성 | 2 | 2 | 1 | 5 |
합계 | 17 | 10 | 15 | 42 |
6. 1. 메달리스트
독일은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7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5개를 획득하여 총 42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이는 201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미하엘 융 | 승마 | 개인 종합 마술 | 8월 9일 | |
필리프 벤데,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한스 그루네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1일 | |
안네카트린 틸레, 카리나 베어, 율리아 리어, 리사 슈미들라 | 조정 | 여자 쿼드러플 스컬 | 8월 11일 | |
바바라 엥글레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8월 11일 | |
헨리 융헤넬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8월 12일 |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쇈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단체 마장마술 | 8월 12일 |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
크리스티안 라이츠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 8월 13일 |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 8월 16일 | |
파비안 함뷔헨 | 체조 | 남자 철봉 | 8월 16일 |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8월 16일 | |
라우라 루드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배구 | 여자 비치 발리볼 | 8월 17일 | |
막스 렌트슈미트,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 8월 18일 | |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알무트 슐트, 요제피네 헤닝, 사스키아 바르투시악, 레오니 마이어, 아니케 크란, 시모네 라우데어, 멜라니 베링어, 레나 괴슬링, 알렉산드라 포프, 제니퍼 마로잔, 안야 미타크, 타베아 켐메, 사라 데브리츠, 바베트 페터, 만디 이슬라커, 멜라니 로이폴츠, 이자벨 케르쇼프스키, 라우라 벤카르트, 스벤야 후트) | 축구 | 여자 | 8월 19일 |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반드레이 | 카누 | 남자 C-2 1000m | 8월 20일 | |
막스 렌트슈미트, 톰 리브셔,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4 1000m | 8월 20일 | |
토마스 뢰러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8월 20일 | |
산드라 아우파르트, 미하엘 융, 잉그리드 클림케, 율리아 크라예프스키 | 승마 | 단체 종합 마술 | 8월 9일 | |
모니카 카르쉬 | 사격 | 여자 25m 권총 | 8월 9일 | |
리사 운루 | 양궁 | 여자 개인전 | 8월 11일 | |
펠릭스 드라호타, 말테 야크식, 에릭 요하네센, 안드레아스 쿠프너, 막시밀리안 문스키, 하네스 오치크, 막시밀리안 라이넬트, 리하르트 슈미트, 마르틴 자우어 (키잡이) | 조정 | 남자 에이트 | 8월 13일 | |
안젤리크 케르버 | 테니스 | 여자 단식 | 8월 13일 |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개인 마장마술 | 8월 15일 | |
프란치스카 베버, 티나 디에체 | 카누 | 여자 K-2 500m | 8월 16일 | |
한잉, 페트리사 솔자, 산 샤오나 | 탁구 | 여자 단체 | 8월 16일 | |
사브리나 헤링, 프란치스카 베버,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티나 디에체 | 카누 | 여자 K-4 500m | 8월 20일 | |
독일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 (티모 혼, 제레미 톨리안, 루카스 클로스터만, 마티아스 긴터, 니클라스 슐레, 스벤 벤더, 막스 마이어, 라르스 벤더, 다비 셀케, 레온 고레츠카, 율리안 브란트, 야닉 후트, 필립 막스, 로베르트 바우어, 막스 크리스티안센, 그리샤 푀멜, 세르주 그나브리, 닐스 페테르센) | 축구 | 남자 | 8월 20일 | |
라우라 바르가스 코흐 | 유도 | 여자 70kg | 8월 10일 | |
크리스티나 포겔, 미리암 벨테 | 사이클 | 여자 단체 스프린트 | 8월 12일 | |
다니엘 야신스키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8월 13일 | |
소피 셰더 | 체조 | 여자 평행봉 | 8월 14일 | |
크리스티나 브뢰링-슈레헤 | 승마 | 개인 마장마술 | 8월 15일 | |
데니스 쿠들라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 | 8월 15일 | |
패트릭 하우징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8월 16일 | |
크리스티안 알만, 메레디스 미카엘스-비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루드거 베어바움 | 승마 | 단체 장애물 | 8월 17일 | |
드미트리 오브차로프, 티모 볼, 바스티안 슈테거 | 탁구 | 남자 단체 | 8월 17일 | |
독일 남자 필드 하키 국가대표팀 (리누스 부트, 모리츠 퓌르스테, 플로리안 푹스, 마츠 그람부쉬, 톰 그람부쉬, 마르틴 해너, 토비아스 하우케, 팀 허츠브루흐, 니콜라스 야코비, 마티아스 뮐러, 티무르 오루즈, 크리스토퍼 뤼르, 모리츠 트롬퍼츠, 니클라스 벨렌, 크리스토퍼 웨슬리, 마르틴 츠비커) | 필드하키 | 남자 | 8월 18일 |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플뢰셀 | 요트 | 49er | 8월 18일 | |
독일 여자 필드 하키 국가대표팀 (리사 한, 프란치스카 하우케, 한나 크뤼거, 니케 로렌츠, 마리 메버스, 율리아 뮐러, 야네 뮐러-비엘란트, 피아-소피 올트하퍼, 셀린 오루즈, 카타리나 오테, 세실리 파이퍼, 크리스티나 레이놀즈, 안네 뢰더, 리사 쉴츠, 아니카 슈프링크, 샬롯 슈테펜호르스트, 야나 테쉬케) | 필드하키 | 여자 | 8월 19일 | |
아르템 하르투니안 | 복싱 | 남자 라이트 웰터급 | 8월 19일 | |
로날트 라우헤 | 카누 | 남자 K-1 200m | 8월 20일 | |
독일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크리스티안 디싱거, 파울 드룩스, 우베 겐스하이머, 파트리크 그뢰츠키, 카이 헤프너, 실비오 하이네베터, 율리우스 퀜, 핀 렘케, 헨드릭 페켈러, 토비아스 라이히만, 마르틴 슈트로벨, 슈테펜 바인홀트, 파비안 비에데, 파트리크 비엔체크, 안드레아스 볼프) | 핸드볼 | 남자 | 8월 21일 |
카누 종목에서 세바스티안 브렌델과 마르쿠스 그로스, 막스 렌트슈미트는 금메달 2개를 획득하여 다관왕을 차지했다. 또한, 카누 종목의 티나 디에체와 프란치스카 베버는 은메달 2개를 획득하여 다관왕을 차지했다.
6. 2. 종목별 메달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금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금 | 토마스 뢰러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금 | 알무트 슐트, 요제피네 헤닝, 자스키아 바르투시악, 레오니 마이어, 아니케 클란, 지모네 라우데르, 멜라니 베링거, 레나 게슬링, 알렉산드라 팝, 제니퍼 마로잔, 아냐 미타크, 타베아 켐메, 사라 데브리츠, 바베트 페터, 만디 이스라커, 멜라니 로이폴츠, 이자벨 케르쇼프스키, 라우라 벤카르트, 스벤야 후트 | 축구 | 여자 |
금 | 필리프 벤데,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한스 그루네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금 | 안네카트린 틸레, 카리나 베르, 율리아 리엘, 리사 슈미들라 | 조정 | 여자 쿼드러플 스컬 |
금 | 라우라 루트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배구 | 여자 비치 발리볼 |
금 | 파비안 함뷔헨 | 체조 | 남자 철봉 |
금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금 | 쑨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크리스티나 쉬피레,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단체 |
금 |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개인 |
금 | 크리스티안 라이츠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
금 | 헨리 융헤넬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금 | 바르바라 엥글레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금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
금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파우드라이 | 카누 | 남자 C-2 1000m |
금 | 막스 렌트슈미트,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
금 | 막스 렌트슈미트, 톰 리브셰르,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4 1000m |
은 | 티모 혼, 제레미 토리안, 루카스 클로스터만, 마티아스 긴터, 니클라스 쥘레, 스벤 벤더, 막스 마이어, 라스 벤더, 다비 젤케, 레온 고레츠카, 율리안 브란트, 야닉 후트, 필리프 막스, 로베르트 바우어, 막스 크리스티안젠, 그리샤 프뢰멜, 세르주 그나브리, 닐스 페테르젠, 에리크 엘슈레겔 | 축구 | 남자 |
은 | 안젤리크 케르버 | 테니스 | 여자 단식 |
은 | 막시밀리안 문스키, 마르테 약시크, 안드레아스 쿠프너, 에리크 요한센, 막시밀리안 라이너트, 펠릭스 드라호타, 리하르트 슈미트, 플로리안 메닝겐, 한네스 오시크, 마르틴 자우어 | 조정 | 남자 에이트 |
은 | 한 잉, 페트리사 숄야, 샨 샤오나 | 탁구 | 여자 단체 |
은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
은 | 율리아 크라이에프스키, 산드라 아우파르트, 잉그리드 클림케,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단체 |
은 | 모니카 카르슈 | 사격 | 여자 25m 권총 |
은 | 프란치스카 베버,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2 500m |
은 | 사브리나 헤링, 프란치스카 베버,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4 500m |
은 | 리사 운루 | 양궁 | 여자 개인 |
동 | 다니엘 야신스키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동 | 패트릭 하우스딩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동 | 니콜라스 야코비, 마티아스 뮐러, 리누스 뷔트, 마르틴 헤너, 모리츠 트롬페르츠, 마츠 그라인부슈, 크리스토퍼 베슬리, 팀 헤르츠브루흐, 토비아스 호이케, 톰 그람부슈, 크리스토퍼 루어, 마르틴 츠비커, 모리츠 퓌르스테, 플로리안 푹스, 티무르 오르츠, 니클라스 펠렌 | 하키 | 남자 |
동 | 니케 로렌츠, 젤린 오르츠, 안네 뢰더, 리사 슐츠, 샤를로테 슈타펜호르스트, 카타리나 오테, 야누 비랜드, 한나 뤼거, 야나 테슈케, 리사 알텐부르크, 프란치스카 호이케, 체실 피퍼, 마리 뫼퍼스, 아니카 슈프링크, 율리아 뮐러, 피아-소피 오르트하우어, 크리스티나 레이놀즈 | 하키 | 여자 |
동 | 아르템 할튜니안 | 복싱 | 남자 라이트웰터급 |
동 | 조피 셰더 | 체조 | 여자 평행봉 |
동 | 데니스 쿠들라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급 |
동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프레셀 | 요트 | 남자 49er |
동 | 우베 겐스하이머, 핀 렘케, 패트릭 빈체크, 토비아스 라이히만, 파비안 비에데, 질비오 하이네베터, 헨드릭 펠러, 슈테판 바인홀트, 마르틴 슈트로벨, 패트릭 그로츠키, 카이 헤프너, 안드레아스 볼프, 율리우스 퀜, 크리스티안 디싱어, 파울 드루크스 | 핸드볼 | 남자 |
동 | 미리암 벨테,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팀 스프린트 |
동 | 티모 볼, 드미트리 옵차로프, 바스티안 슈테거 | 탁구 | 남자 단체 |
동 | 크리스티나 쉬피레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
동 | 크리스티안 아일만, 메러디스 마이클스-비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루드거 베어바움 | 승마 | 장애물 단체 |
동 | 라우라 바르가스-코흐 | 유도 | 여자 70kg급 |
동 | 로날드 로이예 | 카누 | 남자 K-1 200m |
6. 3. 날짜별 메달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금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금 | 토마스 뢰러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금 | 알무트 슐트, 요제피네 헤닝, 자스키아 바르투시악, 레오니 마이어, 아니케 클란, 지모네 라우데르, 멜라니 베링거, 레나 게슬링, 알렉산드라 팝, 제니퍼 마로잔, 아냐 미타크, 타베아 켐메, 사라 데브리츠, 바베트 페터, 만디 이스라커, 멜라니 로이폴츠, 이자벨 케르쇼프스키, 라우라 벤카르트, 스벤야 후트 | 축구 | 여자 |
금 | 필리프 벤데,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한스 그루네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금 | 안네카트린 틸레, 카리나 베르, 율리아 리엘, 리사 슈미들라 | 조정 | 여자 쿼드러플 스컬 |
금 | 라우라 루트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배구 | 여자 비치 발리볼 |
금 | 파비안 함뷔헨 | 체조 | 남자 철봉 |
금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금 | 쑨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크리스티나 쉬피레,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단체 |
금 |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개인 |
금 | 크리스티안 라이츠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
금 | 헨리 융헤넬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금 | 바르바라 엥글레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금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
금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파우드라이 | 카누 | 남자 C-2 1000m |
금 | 막스 렌트슈미트,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
금 | 막스 렌트슈미트, 톰 리브셰르,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4 1000m |
은 | 티모 혼, 제레미 토리안, 루카스 클로스터만, 마티아스 긴터, 니클라스 쥘레, 스벤 벤더, 막스 마이어, 라스 벤더, 다비 젤케, 레온 고레츠카, 율리안 브란트, 야닉 후트, 필리프 막스, 로베르트 바우어, 막스 크리스티안젠, 그리샤 프뢰멜, 세르주 그나브리, 닐스 페테르젠, 에리크 엘슈레겔 | 축구 | 남자 |
은 | 안젤리크 케르버 | 테니스 | 여자 단식 |
은 | 막시밀리안 문스키, 마르테 약시크, 안드레아스 쿠프너, 에리크 요한센, 막시밀리안 라이너트, 펠릭스 드라호타, 리하르트 슈미트, 플로리안 메닝겐, 한네스 오시크, 마르틴 자우어 | 조정 | 남자 에이트 |
은 | 한 잉, 페트리사 숄야, 샨 샤오나 | 탁구 | 여자 단체 |
은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
은 | 율리아 크라이에프스키, 산드라 아우파르트, 잉그리드 클림케,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단체 |
은 | 모니카 카르슈 | 사격 | 여자 25m 권총 |
은 | 프란치스카 베버,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2 500m |
은 | 사브리나 헤링, 프란치스카 베버,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4 500m |
은 | 리사 운루 | 양궁 | 여자 개인 |
동 | 다니엘 야신스키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동 | 패트릭 하우스딩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동 | 니콜라스 야코비, 마티아스 뮐러, 리누스 뷔트, 마르틴 헤너, 모리츠 트롬페르츠, 마츠 그라인부슈, 크리스토퍼 베슬리, 팀 헤르츠브루흐, 토비아스 호이케, 톰 그람부슈, 크리스토퍼 루어, 마르틴 츠비커, 모리츠 퓌르스테, 플로리안 푹스, 티무르 오르츠, 니클라스 펠렌 | 하키 | 남자 |
동 | 니케 로렌츠, 젤린 오르츠, 안네 뢰더, 리사 슐츠, 샤를로테 슈타펜호르스트, 카타리나 오테, 야누 비랜드, 한나 뤼거, 야나 테슈케, 리사 알텐부르크, 프란치스카 호이케, 체실 피퍼, 마리 뫼퍼스, 아니카 슈프링크, 율리아 뮐러, 피아-소피 오르트하우어, 크리스티나 레이놀즈 | 하키 | 여자 |
동 | 아르템 할튜니안 | 복싱 | 남자 라이트웰터급 |
동 | 조피 셰더 | 체조 | 여자 평행봉 |
동 | 데니스 쿠들라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급 |
동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프레셀 | 요트 | 남자 49er |
동 | 우베 겐스하이머, 핀 렘케, 패트릭 빈체크, 토비아스 라이히만, 파비안 비에데, 질비오 하이네베터, 헨드릭 펠러, 슈테판 바인홀트, 마르틴 슈트로벨, 패트릭 그로츠키, 카이 헤프너, 안드레아스 볼프, 율리우스 퀜, 크리스티안 디싱어, 파울 드루크스 | 핸드볼 | 남자 |
동 | 미리암 벨테,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팀 스프린트 |
동 | 티모 볼, 드미트리 옵차로프, 바스티안 슈테거 | 탁구 | 남자 단체 |
동 | 크리스티나 쉬피레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
동 | 크리스티안 아일만, 메러디스 마이클스-비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루드거 베어바움 | 승마 | 장애물 단체 |
동 | 라우라 바르가스-코흐 | 유도 | 여자 70kg급 |
동 | 로날드 로이예 | 카누 | 남자 K-1 200m |
6. 4. 성별별 메달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성별 |
---|---|---|---|---|
금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남자 |
금 | 토마스 뢰러 | 육상 | 남자 창던지기 | 남자 |
금 | 알무트 슐트, 요제피네 헤닝, 자스키아 바르투시악, 레오니 마이어, 아니케 클란, 지모네 라우데르, 멜라니 베링거, 레나 게슬링, 알렉산드라 팝, 제니퍼 마로잔, 아냐 미타크, 타베아 켐메, 사라 데브리츠, 바베트 페터, 만디 이스라커, 멜라니 로이폴츠, 이자벨 케르쇼프스키, 라우라 벤카르트, 스벤야 후트 | 축구 | 여자 | 여자 |
금 | 필리프 벤데, 라우리츠 쇼프, 카를 슐츠, 한스 그루네 | 조정 | 남자 쿼드러플 스컬 | 남자 |
금 | 안네카트린 틸레, 카리나 베르, 율리아 리엘, 리사 슈미들라 | 조정 | 여자 쿼드러플 스컬 | 여자 |
금 | 라우라 루트비히, 키라 발켄호르스트 | 배구 | 여자 비치 발리볼 | 여자 |
금 | 파비안 함뷔헨 | 체조 | 남자 철봉 | 남자 |
금 |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스프린트 | 여자 |
금 | 쑨케 로텐베르거, 도로테 슈나이더, 크리스티나 쉬피레,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단체 | 혼성 |
금 |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개인 | 혼성 |
금 | 크리스티안 라이츠 | 사격 | 남자 25m 속사 권총 | 남자 |
금 | 헨리 융헤넬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남자 |
금 | 바르바라 엥글레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여자 |
금 | 세바스티안 브렌델 | 카누 | 남자 C-1 1000m | 남자 |
금 | 세바스티안 브렌델, 얀 파우드라이 | 카누 | 남자 C-2 1000m | 남자 |
금 | 막스 렌트슈미트,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2 1000m | 남자 |
금 | 막스 렌트슈미트, 톰 리브셰르,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 | 카누 | 남자 K-4 1000m | 남자 |
은 | 티모 혼, 제레미 토리안, 루카스 클로스터만, 마티아스 긴터, 니클라스 쥘레, 스벤 벤더, 막스 마이어, 라스 벤더, 다비 젤케, 레온 고레츠카, 율리안 브란트, 야닉 후트, 필리프 막스, 로베르트 바우어, 막스 크리스티안젠, 그리샤 프뢰멜, 세르주 그나브리, 닐스 페테르젠, 에리크 엘슈레겔 | 축구 | 남자 | 남자 |
은 | 안젤리크 케르버 | 테니스 | 여자 단식 | 여자 |
은 | 막시밀리안 문스키, 마르테 약시크, 안드레아스 쿠프너, 에리크 요한센, 막시밀리안 라이너트, 펠릭스 드라호타, 리하르트 슈미트, 플로리안 메닝겐, 한네스 오시크, 마르틴 자우어 | 조정 | 남자 에이트 | 남자 |
은 | 한 잉, 페트리사 숄야, 샨 샤오나 | 탁구 | 여자 단체 | 여자 |
은 | 이자벨 베르트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 혼성 |
은 | 율리아 크라이에프스키, 산드라 아우파르트, 잉그리드 클림케, 미하엘 융 | 승마 | 종합마술 단체 | 혼성 |
은 | 모니카 카르슈 | 사격 | 여자 25m 권총 | 여자 |
은 | 프란치스카 베버,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2 500m | 여자 |
은 | 사브리나 헤링, 프란치스카 베버, 슈테피 크리거슈타인, 티나 디체 | 카누 | 여자 K-4 500m | 여자 |
은 | 리사 운루 | 양궁 | 여자 개인 | 여자 |
동 | 다니엘 야신스키 | 육상 | 남자 원반던지기 | 남자 |
동 | 패트릭 하우스딩 | 다이빙 | 남자 3m 스프링보드 | 남자 |
동 | 니콜라스 야코비, 마티아스 뮐러, 리누스 뷔트, 마르틴 헤너, 모리츠 트롬페르츠, 마츠 그라인부슈, 크리스토퍼 베슬리, 팀 헤르츠브루흐, 토비아스 호이케, 톰 그람부슈, 크리스토퍼 루어, 마르틴 츠비커, 모리츠 퓌르스테, 플로리안 푹스, 티무르 오르츠, 니클라스 펠렌 | 하키 | 남자 | 남자 |
동 | 니케 로렌츠, 젤린 오르츠, 안네 뢰더, 리사 슐츠, 샤를로테 슈타펜호르스트, 카타리나 오테, 야누 비랜드, 한나 뤼거, 야나 테슈케, 리사 알텐부르크, 프란치스카 호이케, 체실 피퍼, 마리 뫼퍼스, 아니카 슈프링크, 율리아 뮐러, 피아-소피 오르트하우어, 크리스티나 레이놀즈 | 하키 | 여자 | 여자 |
동 | 아르템 할튜니안 | 복싱 | 남자 라이트웰터급 | 남자 |
동 | 조피 셰더 | 체조 | 여자 평행봉 | 여자 |
동 | 데니스 쿠들라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 85kg급 | 남자 |
동 | 에리크 하일, 토마스 프레셀 | 요트 | 남자 49er | 남자 |
동 | 우베 겐스하이머, 핀 렘케, 패트릭 빈체크, 토비아스 라이히만, 파비안 비에데, 질비오 하이네베터, 헨드릭 펠러, 슈테판 바인홀트, 마르틴 슈트로벨, 패트릭 그로츠키, 카이 헤프너, 안드레아스 볼프, 율리우스 퀜, 크리스티안 디싱어, 파울 드루크스 | 핸드볼 | 남자 | 남자 |
동 | 미리암 벨테, 크리스티나 포겔 | 사이클 | 여자 팀 스프린트 | 여자 |
동 | 티모 볼, 드미트리 옵차로프, 바스티안 슈테거 | 탁구 | 남자 단체 | 남자 |
동 | 크리스티나 쉬피레 | 승마 | 마장마술 개인 | 혼성 |
동 | 크리스티안 아일만, 메러디스 마이클스-비어바움, 다니엘 도이서, 루드거 베어바움 | 승마 | 장애물 단체 | 혼성 |
동 | 라우라 바르가스-코흐 | 유도 | 여자 70kg급 | 여자 |
동 | 로날드 로이예 | 카누 | 남자 K-1 200m | 남자 |
6. 5. 다관왕
얀 파우드라이마르쿠스 그로스
톰 리브셰르
막스 호프
마르쿠스 그로스